Prophet 10: 예레미야 2 Jeremiah 2 – 새 언약

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2025년 7월 19일 설교 이익환 목사

Prophet 10: 예레미야 2 Jeremiah 2 – 새 언약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 31:31) “The time is coming,” declares the LORD, “when I will make a new covenant with the house of Israel and with the house of Judah.” (Jeremiah 31:31)

우리는 종종 약속이 깨지는 세상 속에 살아간다. We live in a world where promises are often broken. 때론 사람들은 신실하지 않고, 상황은 불안정하며, 관계는 위태롭다. Sometimes people are unfaithful, circumstances are unstable, and relationships are fragile. 그러나 결혼은 많은 관계 중에서도 깨지지 않는 영원한 언약 관계를 맺는 것이다. Yet marriage, among all relationships, is meant to be an unbreakable and eternal covenant. 언약은 간단히 말하자면 ‘나는 그의 것이 되고 그는 나의 것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A covenant, simply put, means “I belong to him, and he belongs to me.” 그런데 이 언약 관계도 늘 깨어질 위험이 있다. However, even this covenant relationship is always at risk of being broken.

히브리어로 남자는 ‘이쉬(איש)’, 여자는 ‘이샤(אשה)’다. In Hebrew, the word for man is ish (איש), and for woman, isha (אשה). 그런데 유대인 랍비들은 이 두 단어 모두에 ‘에쉬(אש), 즉 ‘불’이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주목했다. Jewish rabbis noted that both of these words contain the Hebrew word esh (אש), which means “fire.” 그들은 두 존재가 함께 할 때 ‘에쉬(אש), 즉 ‘불’이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거룩한 불이 된다고 말한다. They said that when these two come together, the esh, the fire, becomes a holy fire in the presence of God. 그런데 이쉬와 이샤에서 요드(י)와 헤(ה)는 각각 하나님의 이름 야훼(יהוה)에서 온 것이다. In ish and isha, the letters yod (י) and heh (ה) come from God’s name, YHWH (יהוה). 남자와 여자, 이 각각의 존재에서 하나님이 빠지면 어떻게 될까? What happens when God is removed from man and woman as individuals? 에쉬(אש)만 남는다. Only esh (אש)—fire—remains. 남자와 여자의 인생에서 하나님이 빠지면 서로를 태워버리는 파괴적인 불이 되는 것이다. Without God, the lives of a man and a woman become a consuming and destructive fire that burns one another. 우리는 화가 나면 열받는다. 그 이유는 우리 안에 불이 있기 때문이다. When we get angry, we feel like we’re burning—because there is a fire inside us. 그런데 오늘 본문에서 하나님은 이런 말씀을 하신다: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렘 31:31)” But in today’s passage, God declares: “Behold, the days are coming, when I will make a new covenant with the house of Israel and the house of Judah” (Jeremiah 31:31). 놀라운 말씀이다. It is a marvelous word. 언약을 깨뜨린 백성, 하나님과의 관계에 실패한 이스라엘에게하나님은 ‘새 언약’을 맺자고 말씀하신 것이다. To a people who had broken the covenant, to Israel who had failed i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He now offers a “new covenant.” 왜 하나님은 예레미야 시대, 그것도 가장 절망적인 시대에 이 새 언약을 말씀하셨을까? Why did God speak of this new covenant during the time of Jeremiah, in the darkest period of Israel’s history?이 새 언약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성취되었고, 이것은 우리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How was this new covenant fulfilled in history, and what does it have to do with us today? 오늘 말씀을 통해 함께 살펴보며 은혜를 나누고자 한다. Through today’s message, let us explore these questions together and share God’s grace.

예레미야는 남 유다 멸망 직전,
가장 어두운 시기에 부름 받은 선지자였다. Jeremiah was a prophet called during the darkest days, just before the fall of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이스라엘 백성들은 우상 숭배에 빠졌고, 지도자들은 부패했으며, 예루살렘은 바벨론에 의해 파괴되기 직전이었다. The people of Israel had fallen into idolatry, their leaders were corrupt, and Jerusalem was on the verge of destruction by Babylon. 겉으로는 성전이 있었고, 제사와 절기가 지켜졌지만
실상은 우상 숭배와 불의, 지도자들의 타락으로 신앙은 무너져 내렸다. Outwardly, the Temple stood and the rituals and feasts were observed, but inwardly, faith had collapsed under idolatry, injustice, and the leaders’ corruption. 하나님은 성전에 드나드는 사람들을 향해 이렇게 말씀하셨다: “너희가 ‘여호와의 성전이라’ 말하나, 이 성전이 도둑들의 소굴이 되었도다.” God said to those who entered the Temple: “You say, ‘This is the temple of the LORD,’ but this Temple has become a den of robbers.” 하나님의 임재는 더 이상 그들 가운데 머물지 않았고,
그들의 신앙은 형식과 위선 뿐이었다. The presence of God no longer dwelled among them, and their faith was reduced to mere formality and hypocrisy. 예레미야는 이들을 향해 “돌이키라!”고 외쳤지만, 그의 말을 듣는 사람은 없었다. Jeremiah cried out to them, “Turn back!” but no one listened.
심지어 그는 매 맞고, 구덩이에 던져지고, 감옥에 갇히기까지 했다. He was beaten, thrown into a pit, and even imprisoned. 그러나 고통 가운데 있는 예레미야에게
하나님은 말씀하셨다: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렘 31:31)” Yet to Jeremiah in his suffering, God spoke: “Behold, the days are coming when I will make a new covenant with the house of Israel and Judah” (Jeremiah 31:31). 하나님은 왜 그 시대에, 특별히 예레미야에게 새 언약에 대해 말씀하셨을까? Why did God speak of the new covenant at that time, and especially through Jeremiah? 그것은 예레미야의 시대가 멸망을 앞둔 시대였기 때문이다. Because Jeremiah’s era was one of impending doom. 하나님은 심판 중에도 소망의 약속을 잊지 않으시는 분이기 때문에 심판과 함께 회복의 말씀도 함께 주신 것이다. God, even in judgment, never forgets His promises of hope—so He gave a word of restoration alongside the judgment. 예레미야는 당시 선지자로서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자가 아니었다. As a prophet, Jeremiah was not just someone who conveyed information. 그는 하나님의 고통을 함께 느낀 사람이었다. He was a man who felt the pain of God in his own heart. 그는 이렇게 고백한다: He confesses this way: 20:8, “여호와의 말씀으로 말미암아 내가 종일토록 치욕과 모욕 거리가 됨이니이다” Jeremiah 20:8, “So the word of the LORD has brought me insult and reproach all day long.” 그는 하나님의 파토스, 즉 그분의 고통과 사랑과 열망을 가슴으로 받아낸 자였다. He carried God’s pathos—His suffering, His love, and His longing—deep in his heart. 하나님께서 왜 그를 통해 말씀하셨을까? Why did God speak through him?
그것은 그가 하나님의 ‘파토스’를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 Because Jeremiah was a man capable of conveying God’s pathos. 그는 눈물로 외칠 수 있는 선지자였고,
하나님의 아픔을 함께 짊어진 사람이었다. He was a prophet who could cry out with tears, and who bore God’s pain with Him. 바로 그런 예레미야가 하나님의 눈물로 쓰여진 새 언약을 온전히 전할 수 있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It was Jeremiah, precisely because of this, who was able to faithfully proclaim the new covenant—written with the tears of God.

그러면 새 언약의 내용은 무엇일까? Then what is the content of the new covenant? 첫번째, 새 언약은 ‘옛 언약’과 다른 차원의 약속이었다. First, the new covenant was a promise on a different level from the old covenant. 31:32,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조상들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맺은 것과 같지 아니할 것은 내가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깨뜨렸음이라” Jeremiah 31:32, “It will not be like the covenant I made with their forefathers when I took them by the hand to lead them out of Egypt, because they broke my covenant, though I was a husband to them.” 하나님은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남편과 아내 관계로 묘사하셨다. God described His relationship with Israel as that of a husband and wife. 출애굽 이후 시내산에서 맺어진 언약은 마치 결혼식과 같았다. The covenant made at Mount Sinai after the Exodus was like a wedding ceremony. 유대인들 역시 이날을 “우리가 하나님과 결혼한 날”이라고 표현한다. The Jewish people also refer to that day as “the day we married God.” 하나님은 말씀하셨다: “너희는 내 백성이 되고,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리라” God declared, “You will be my people, and I will be your God.” 그런데 그 언약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었다: “내가 너희에게 명령한 율법을 지키면…” But that covenant came with conditions: “If you keep the law I command you…” 즉 그것은 언약 관계를 위해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율법을 지켜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That is, the covenant relationship required the people of Israel to keep God’s law. 그런데 이스라엘은 그 언약을 지키지 못했다. However, Israel failed to keep that covenant. 율법 자체는 완전한 것이었지만, 백성의 마음이 완악했기 때문이었다. The law itself was perfect, but the people’s hearts were hardened. 하나님은 “나는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깨뜨렸다(렘 31:32)”고 말씀하셨다. God said, “Though I was a husband to them, they broke my covenant” (Jer. 31:32). 돌판에 새긴 언약은 외적인 것이었고, 반복적인 제사에도 죄는 여전히 사람들 안에 남아 있었다. The covenant written on stone tablets was external, and despite repeated sacrifices, sin remained within the people. 그러나 하나님은 포기하지 않으시고 말씀하셨다: Yet God did not give up and said: 31:33,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Jeremiah 31:33, “This is the covenant I will make with the house of Israel after that time,” declares the LORD. “I will put my law in their minds and write it on their hearts.” 이 말씀은 하나님의 법이 더 이상 돌판이 아닌, 사람의 마음에 기록되게 하겠다는 하나님의 선언이었다. This was God’s declaration that His law would no longer be written on stone tablets, but on human hearts. 겉으로만 하나님을 섬기던 시대에서, 속사람의 변화를 통해 하나님을 따르는 시대를 여시겠다는 것이다. It means that God would open a new era—not one of outward religious observance, but of following Him through inner transformation. 하나님은 에스겔 선지자를 통해서도 말씀하셨다: God also spoke through the prophet Ezekiel: 36:26-27, “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또 내 영을 너희 속에 두어 너희로 내 율례를 행하게 하리니 너희가 내 규례를 지켜 행할지라” Ezekiel 36:26–27, “I will give you a new heart and put a new spirit in you; I will remove from you your heart of stone and give you a heart of flesh. And I will put my Spirit in you and move you to follow my decrees and be careful to keep my laws.” 이것은 성령으로 말미암은 내면의 변화를 의미한다. This speaks of an inner transformation brought by the Holy Spirit. 이전에는 많은 율법을 지키며 억지로 순종했지만, 이제는 영의 인도하심을 따라 기꺼이 순종하는 삶을 살게 될 것이란 말씀이다. In the past, people obeyed reluctantly by keeping many laws, but now, God is promising a life of willing obedience led by the Spirit.”

두번째 새 언약의 내용은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의 회복이다. Second, the content of the new covenant is the restoration of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그것은 아내가 다른 남자를 찾아 바람 피우는 관계가 아니라 아내가 먼저 남편을 찾는 관계이다. It is no longer a relationship where the wife chases after other men, but one where the wife seeks her husband first. 예레미야는 그 사실을 이렇게 선포한다: Jeremiah proclaims this truth as follows: 31:22, “반역한 딸아 네가 어느 때까지 방황하겠느냐 여호와가 새 일을 세상에 창조하였나니 곧 여자가 남자를 둘러 싸리라” Jeremiah 31:22, “How long will you wander, O unfaithful daughter? The LORD will create a new thing on earth–a woman will surround a man.” ‘여자가 남자를 둘러싼다’게 무슨 뜻일까? What does it mean that “the woman will surround the man”? ‘둘러 싸다’는 말은 히브리어로 ‘테쏘베브(תסובב)’인데, 이는 ‘안다, 포옹하다’란 뜻이다. The Hebrew word tesovev (תסובב), meaning “surround,” also carries the connotation of “embrace” or “draw near.” 이는 여자 안에 남편과의 관계에 대한 갈망이 회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It signifies the restoration of the wife’s longing for her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즉, 아내 된 이스라엘이 남편 된 하나님을 먼저 갈망하게 된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srael as the bride will once again long for God, her husband. 따라서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먼저 찾고 갈망하며 언약에 충실한 관계를 회복하게 된다는 것이다. Thus, Israel will seek God first, yearn for Him, and restore a faithful covenantal relationship. 그리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되는(렘 31:33)” 언약 관계가 다시 이루어지는 것이다. So the covenantal relationship where “I will be their God and they will be my people” (Jer. 31:33) will be reestablished.

세번째 새 언약의 내용은 하나님의 완전한 용서의 약속이다. The third aspect of the new covenant is the promise of God’s complete forgiveness. 예레미야는 그 사실을 이렇게 선포한다: Jeremiah proclaims it this way: 31:34, “내가 그들의 악행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Jeremiah 31:34, “For I will forgive their wickedness and will remember their sins no more.” 이것은 새 언약의 절정이다. This is the climax of the new covenant. 하나님은 죄를 용서하실 뿐 아니라, 그 죄를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고 하신다. God not only forgives sin but promises never to mention it again. 사람은 쉽게 용서하지만 잊지 못한다. People may forgive easily, but they cannot forget. 그러나 하나님은 잊으신다. But God chooses to forget. 이것은 의지적으로 기억하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This is a deliberate declaration not to remember. 다시는 그 죄를 기억하여 심판하지 않겠다는 언약적 선언인 것이다. It is a covenantal promise that He will never again recall those sins to bring judgment. 하나님이 잊으실 수 있다는 것은 우리 인간에게 좋은 소식이다. It is good news for us that God is willing to forget. Isn’t it?

그렇다면 이 새 언약은 어떻게 성취가 되었을까? Then, how was this new covenant fulfilled? 물론 새 언약은 바벨론 포로기 이후 하나님의 말씀을 찾았던 남은 자들을 통해 부분적으로 실현되었다. Of course, the new covenant was partially fulfilled through the remnant who sought God’s Word after the Babylonian exile. 그러나 그 궁극적 성취는 종말론적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하는 약속이다. However, its ultimate fulfillment must be understood from an eschatological perspective. 신약 성경은 예레미야의 새 언약 예언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것으로 해석한다. The New Testament interprets Jeremiah’s prophecy of the new covenant as fulfilled in Jesus Christ. 특히 히브리서 8장은 예레미야 31장 전체를 인용하면서, 예수께서 더 좋은 언약의 중보자이심을 설명한다. Especially in Hebrews 8, where the entire passage of Jeremiah 31 is quoted, Jesus is described as the mediator of a better covenant. 8:7-8, 10, “저 첫 언약이 무흠하였더라면 둘째 것을 요구할 일이 없었으려니와 그들의 잘못을 지적하여 말씀하시되 주께서 이르시되 볼지어다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과 더불어 새 언약을 맺으리라또 주께서 이르시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것이니 내 법을 그들의 생각에 두고 그들의 마음에 이것을 기록하리라 나는 그들에게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게 백성이 되리라” Hebrews 8:7–8, 10 says, “For if there had been nothing wrong with that first covenant, no place would have been sought for another. But God found fault with the people and said: “The time is coming, declares the Lord, when I will make a new covenant with the house of Israel and with the house of Judah… This is the covenant I will make with the house of Israel after that time, declares the Lord. I will put my laws in their minds and write them on their hearts. I will be their God, and they will be my people.” 9:15, “이로 말미암아 그는 새 언약의 중보자시니 이는 첫 언약 때에 범한 죄에서 속량하려고 죽으사 부르심을 입은 자로 하여금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Hebrews 9:15 says, “For this reason Christ is the mediator of a new covenant, that those who are called may receive the promised eternal inheritance–now that he has died as a ransom to set them free from the sins committed under the first covenant.”

이 새 언약을 시행하기 위해 하나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셨다. To establish this new covenant, God sent Jesus Christ to the earth. 예수님의 십자가는 우리 인류의 죄 사함을 위한 결정적 사건이었다. The cross of Jesus was the decisive event for the forgiveness of human sin. 예레미야가 말한 것처럼, “내가 그들의 죄악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이 십자가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As Jeremiah foretold, God’s promise to “forgive their iniquity and remember their sins no more” was fulfilled on the cross. 예수님은 이 새 언약을 위해 자신이 희생당하셔야 함을 아시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Jesus understood that He would be sacrificed for the sake of the new covenant and declared: 22:20,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Luke 22:20, “This cup is the new covenant in my blood, which is poured out for you.” 따라서 새 언약의 완성자인 예수님을 통해 그 마음에 하나님의 사랑이 새겨진 사람은 이제 누구나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되는 것이다. Thus, through Jesus, the fulfillment of the new covenant, everyone who has God’s love written on their heart is now counted as God’s covenant people. 하나님을 먼저 찾고 갈망하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They begin to live a life that seeks and longs for God first. 이처럼 새 언약의 관계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시작된다. This new covenant relationship begins only through Jesus Christ. 그것은 유대인들 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해 하나님께서 새롭게 창조하신 새 일이다. It is a new thing God has created not just for the Jews but for all people. 죄의 포로된 삶에서 돌아와 참된 관계를 통해 위로를 경험할 수 있는 소망은 오직 새 언약을 통해 가능하다. Hope for returning from a life enslaved by sin and experiencing true comfort in relationship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new covenant.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고, 내가 그의 소유된 백성이 될 때 우리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새 언약 백성이 된다. When God becomes my God and I become His treasured people, we become the people of the new covenant who love God. 여자든 남자든, 하나님이 함께 하는 인생이 될 때 우리는 불로 소멸되지 않는다. Whether male or female, when God is with us, we are not consumed by fire. 대신,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이름이 우리의 마음에 새겨질 때, 우리는 하나님이 함께 하셔서 그분의 거룩한 임재의 불로 타오르는 인생이 되는 것이다. Instead, when God’s name is written on our hearts through Jesus, we become lives that burn brightly with the holy fire of His presence.

새 언약은 또한 오순절을 통해 성취되었다. The new covenant was also fulfilled through Pentecost. 구약의 오순절은 시내산에서 율법을 받은 날이었다. In the Old Testament, Shavuot was the day the Law was given at Mount Sinai. 그런데 신약의 오순절은 성령을 선물로 받은 날이었다. But in the New Testament, Pentecost was the day the Holy Spirit was given as a gift. 오순절 날, 불처럼 임한 성령은 마치 하나님의 손가락이 사람들의 마음판에 새 율법을 기록하는 것과 같은 사건이었다. On the day of Pentecost, the Spirit came like fire, as if the finger of God was writing a new law on the tablets of human hearts. 시내산에서 불과 구름, 천둥 가운데 율법이 주어졌던 것처럼, 그 날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와 함께 임했던 성령은 다름 아닌 하늘로부터 임한 새 언약의 표지였던 것이다. Just as the Law was given at Sinai with fire, cloud, and thunder, the Spirit came with “a sound like a violent rushing wind,” as the sign of the new covenant from heaven. 이 때 사람들은 방언을 말하며, “우리가 각기 자기 나라 말로 하나님의 큰 일을 듣는다(행 2:11)”고 말했다. At that time, people spoke in tongues, saying, “We hear them declaring the wonders of God in our own tongues” (Acts 2:11). 이는 보편적 계시가 임한 것이며, “모든 사람이 하나님을 알게 된다”는 예레미야의 예언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This was a universal revelation, the fulfillment of Jeremiah’s prophecy that “all will know God.”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한 민족에게만 주어진 율법이, 이제는 모든 민족에게 주어진 복음으로 확장된 것이다. The Law given to one nation at Sinai has now become the gospel extended to all nations. 이 날 베드로의 설교, “너희가 회개하여 죄 사함을 받으라 그리하면 성령의 선물을 받을 것이다 (행 2:38)”란 내용은 예레미야의 ‘죄 사함’에 대한 약속이 실제로 선포되고 실현된 장면이었다. Peter’s sermon—“Repent and be baptized for the forgiveness of your sins, and you will receive the gift of the Holy Spirit” (Acts 2:38)—was the public fulfillment of Jeremiah’s promise of forgiveness. 따라서 율법을 마음에 기록하는 성령의 역사, 그로 인해 알게 된 하나님에 대한 지식, 죄 사함, 이 모두가 오순절 성령 강림을 통해 이 땅의 역사에서 시작된 것이다. Thu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riting the law on human hearts, the knowledge of God that comes through it, and the forgiveness of sins—all of these began in human history through the outpouring of the Holy Spirit at Pentecost.

이제 이 새 언약은 여러분의 삶에서도 실제가 되어야 한다. Now this new covenant must become real in your life as well. 새 언약 백성이 되기 위해 여러분은 가장 먼저 새 언약의 중보자로 오신 예수님을 여러분의 구원자로 영접해야 한다. To be a new covenant people, you must first receive Jesus, the mediator of the new covenant, as your Savior. 또한 여러분은 율법이 아니라 성령의 사람으로 살아가야 한다. And you must live not as a person of the law, but as a person of the Spirit. 지금은 새 언약의 시대이며, 우리 마음에 하나님의 마음을 새기기 위해 성령이 활동하시는, 성령의 시대이다. This is the age of the new covenant, the age of the Spirit, where He is at work to inscribe God’s heart upon ours. 우리는 외적인 종교 행위에 치중하는 종교인이 아니라,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 새 언약 백성이 되어야 한다. We must not be religious people obsessed with external rituals, but the new covenant people led by the Spirit. 그럴 때 하나님의 뜻이 여러분의 마음 안에서 말씀하실 것이며, 여러분은 하나님을 먼저 찾고 갈망하는 자로 살게 될 것이다. Then God’s will shall speak within your heart, and you will live as one who seeks and longs for God first.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이 친히 우리와 함께 계시는 것은 성경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에서 묘사하고 있는 신자들의 최종 상태이다. Becoming God’s people and having God dwell with us is the final state of believers, as described in the last book of the Bible, the Book of Revelation. 21:3-4, “내가 들으니 보좌에서 큰 음성이 나서 이르되 보라 하나님의 장막이 사람들과 함께 있으매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계시리니 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은 친히 그들과 함께 계셔서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닦아 주시니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 Revelation 21:3–4 says, “And I heard a loud voice from the throne saying, “Now the dwelling of God is with men, and he will live with them. They will be his people, and God himself will be with them and be their God. He will wipe every tear from their eyes. There will be no more death or mourning or crying or pain, for the old order of things has passed away.”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이 친히 우리와 함께 계시는 것, 그것이 처음 언약과 새 언약의 공통된 공식이다. The declaration that we are God’s people and that He dwells with us is the unchanging formula of both the old covenant and the new. 바라기는 여기 있는 우리 모두가 한 순간도 하나님의 임재에서 벗어나지 않는 새 언약 백성으로 살아가길 축원한다. I pray that all of us here would live as new covenant people who never step outside the presence of God for even a moment. 그리하여 여러분이 가는 곳마다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의 불을 일으키는 사람이 되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And I bless you in the name of Jesus, that wherever you go, you would be one who ignite the holy fire of God’s presence.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