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2025년 7월 26일 설교 이익환 목사
Prophet 11: 나훔 Nahum – 욤 나캄
“여호와는 질투하시며 보복하시는 하나님이시니라 여호와는 보복하시며 진노하시되 자기를 거스르는 자에게 여호와는 보복하시며 자기를 대적하는 자에게 진노를 품으시며” (나훔 1:2) The LORD is a jealous and avenging God; the LORD takes vengeance and is filled with wrath. The LORD takes vengeance on his foes and maintains his wrath against his enemies. (Nahum 1:2)
복수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원초적 본능이다. The desire for revenge is a basic human instinct. 자신에게 모욕을 주거나 피해를 끼친 존재에게 되갚아주고 싶은 게 우리 인간의 본능적 반응이다. It is a natural human reaction to want to retaliate against those who have insulted or harmed us. 태초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복수의 역사가 있어 왔다. From the beginning of time until now, history has been filled with countless acts of revenge. 그리고 지금도 복수는 세상 곳곳에서, 또한 우리 내면에서 벌어지고 있다. Even today, revenge takes place throughout the world—and within our own hearts. 오늘 우리가 살펴 볼 나훔서에서 하나님은 복수하시는 하나님으로 나온다. In the book of Nahum, which we will study today, God is revealed as a God who avenges. 하나님의 복수는 인간의 복수와 어떻게 다를까? How is God’s vengeance different from human revenge? 하나님은 복수에 대한 심판을 왜 나훔 선지자를 통해 전하셨을까? Why did God deliver this judgment of vengeance through the prophet Nahum? 오늘 함께 살펴보며 은혜를 나누고자 한다. Today, we want to explore this together and share in God’s grace.
나 1:1, “니느웨에 대한 경고 곧 엘고스 사람 나훔의 묵시의 글이라” Nahum 1:1, “An oracle concerning Nineveh. The book of the vision of Nahum of Elkosh.” 나훔서는 짧지만, 강렬한 책이다. The book of Nahum is short but powerful. 그 경고의 대상은 앗수르 제국의 수도 니느웨이다. The warning is addressed to Nineveh, the capital of the Assyrian Empire. 니느웨는 요나를 통해 회개하고 여호와의 은혜의 해를 경험했던 도시였다. Nineveh was once a city that had repented through Jonah and experienced the year of the Lord’s favor. 그러나 약 150년이 지나 다시 폭력과 잔혹으로 가득 차게 되었다. However, about 150 years later, it became filled again with violence and cruelty. 나 3:1, “화 있을진저 피의 성이여 그 속에는 거짓이 가득하고 포악이 가득하며 탈취가 떠나지 아니하는도다” Nahum 3:1, “Woe to the city of blood, full of lies, full of plunder, never without victims!” 나훔은 니느웨를 ‘피의 성’이라고 부른다. Nahum calls Nineveh a “city of blood.” 이는 앗수르 제국이 얼마나 잔인했는가를 보여준다. This shows how brutal the Assyrian Empire had become.

아슈르바니팔은 앗수르 제국의 마지막 왕이었는데, 사자를 맨손으로 잡는 그의 모습이 새겨진 부조에서 가장 무서운 존재를 지배할 수 있다는 그의 자신감이 엿보인다. Ashurbanipal was the last king of the Assyrian Empire, and in this relief where he is shown grasping a lion with his bare hands, we see his confidence in mastering even the most fearsome creatures. 그런데 그는 무자비한 군사력과 잔혹한 보복으로 악명이 높았다. Yet he was notorious for his ruthless military power and brutal acts of vengeance. 그는 정복지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하고, 포로를 잔인하게 고문했다. He slaughtered countless people in conquered lands and brutally tortured prisoners. 니느웨에서 발견된 부조에 의하면 그는 포로의 머리를 베고, 산채로 껍질을 벗기며, 임산부의 배를 가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According to reliefs found in Nineveh, he committed atrocities such as beheading captives, flaying people alive, and ripping open the bellies of pregnant women. 또한 니느웨 성 안에서는 거짓과 포악이 가득하고 탈취가 떠나지 않았다. Within the city of Nineveh, lies, violence, and plunder were rampant and unceasing.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했던 이들이 도덕적으로, 영적으로 얼마나 타락했는지 알 수 있다. This reveals how deeply those who once experienced God’s grace had fallen morally and spiritually.

하나님은 이들에 대한 보복을 선언하셔야만 했다. God had to declare vengeance against them. 나 1:2, “여호와는 질투하시며 보복하시는 하나님이시니라 여호와는 보복하시며 진노하시되 자기를 거스르는 자에게 여호와는 보복하시며 자기를 대적하는 자에게 진노를 품으시며” Nahum 1:2, “The Lord is a jealous and avenging God; the Lord takes vengeance and is filled with wrath. The Lord takes vengeance on his foes and vents his wrath against his enemies.” 이 한 절에 보복이란 말이 세 번 나온다. In this one verse, the word “vengeance” appears three times. 이것은 보복이 일순간적인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임을 강조한 것이다. This emphasizes that vengeance is not a momentary emotion, but part of God’s character. ‘보복하다’는 히브리어로 ‘나캄(נָקָם)’인데, 이 말은 구약 성경 전체에서 하나님의 공의와 위로를 드러내는 핵심 개념이다. The Hebrew word for “avenge” is naqam (נָקָם), a key concept in the Old Testament that reveals God’s justice and comfort. 나캄은 사람의 분노처럼 통제되지 않은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로운 개입과 정의의 회복을 뜻하는 말이다. Naqam is not an uncontrolled human emotion but refers to God’s righteous intervention and restoration of justice. 또한 이 보복은 자기 백성을 억압하는 자에 대한 심판이다. This vengeance is God’s judgment against those who oppress His people. 그 결과 나캄은 억울한 자들에게는 한없는 위로가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naqam becomes a deep comfort to those who suffer unjustly.

니느웨를 향한 하나님의 보복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In what way was God’s vengeance executed against Nineveh? 역사의 기록을 보면, 주전 612년, 메대와 바벨론의 연합군이 니느웨를 침공한다.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in 612 BC, a coalition of the Medes and Babylonians invaded Nineveh. 나 2:1, “파괴하는 자가 너를 치러 올라왔나니 너는 산성을 지키며 길을 파수하며 네 허리를 견고히 묶고 네 힘을 크게 굳게 할지어다” Nahum 2:1, “An attacker advances against you, Nineveh. Guard the fortress, watch the road, brace yourselves, marshal all your strength!” 이것은 힘을 다해 지키라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해봐도 다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This is not a call to defend with all their strength, but a declaration that even such efforts would be in vain. 그들이 어떻게 해도 앗수르를 향한 하나님의 심판은 막을 수 없는 것이었다. No matter what they did, they could not stop God’s judgment against Assyria. 나 2:6-7, “강들의 수문이 열리고 왕궁이 소멸되며 정한 대로 왕후가 벌거벗은 몸으로 끌려가니 그 모든 시녀들이 가슴을 치며 비둘기 같이 슬피 우는도다” Nahum 2:6–7, “The river gates are thrown open and the palace collapses. It is decreed that the queen be stripped and carried away, and her attendants moan like doves, beating on their breasts.” 니느웨는 적의 침입에 대비해 성 주위로 인공수로를 파고 물을 채웠다. Nineveh had dug artificial canals around the city and filled them with water to defend against enemy attacks. 그러나 그 역시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But even that was of no use. 적군의 공격으로 성이 열리고, 왕궁은 불에 타 무너지고 만다. The enemy’s assault opened the gates, and the royal palace was burned and destroyed.

선지자들은 종종 미래의 사건을 이미 일어난 것처럼 표현한다. Prophets often described future events as if they had already taken place. 문법적으로 이러한 표현을 “예언 완료형”이라고 한다. Grammatically, this is called the “prophetic perfect.” 나훔서도 그런 종류의 예언이다. The book of Nahum is one such prophetic text. 예언할 당시 앗수르는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가장 강력한 제국이었다. At the time of the prophecy, Assyria was the most powerful empire, seemingly untouchable. 그런 제국이 멸망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The idea of such an empire falling was unimaginable. 학자들은 나훔서가 기록된 시기를 대략 BC 660~630년 사이로 본다. Scholars estimate that the book of Nahum was written between 660 and 630 BC. 이는 아슈르바니팔의 말기 통치 기간(BC 669–631)과 겹친다. This period overlaps with the final years of Ashurbanipal’s reign (669–631 BC). 앗수르 제국은 그의 통치하에서 문화와 군사 모두에서 정점에 이르렀다. The Assyrian Empire reached its cultural and military peak under his rule. 이처럼 나훔은 앗수르 제국이 절정기에 있을 때 멸망을 예언한 것이었다. Thus, Nahum prophesied Assyria’s downfall at the very height of its power. 니느웨의 멸망은 미래에 벌어질 일이었지만 나훔은 환상 중에 니느웨의 멸망을 생생하게 목격했다. Though Nineveh’s fall was a future event, Nahum saw it vividly in a vision. 그랬기에 그는 지금 그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완료형으로 묘사한 것이다. That is why he described it in the prophetic perfect tense, as if it were already happening. 나 3:7, 3:19, “니느웨가 황무지가 되었도다… 모든 자가 너를 보고 손뼉을 치나니…” Nahum 3:7, 3:19, “Nineveh is in ruins—who will mourn for her? … Everyone who hears the news about you claps their hands at your fall…” 결국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제국이 한순간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것이다. In the end, the most powerful empire in the world vanished in a moment from history. 이처럼 하나님의 보복의 날에 대한 예언은 실제 역사 속에서 이루어졌다. In this way, the prophecy of God’s day of vengeance was fulfilled in real history.
하나님의 보복의 날은 압제자에겐 심판의 날이지만, 압제를 당한 자들에겐 위로의 날이다. The day of God’s vengeance is a day of judgment for oppressors but a day of comfort for the oppressed. 니느웨를 향해서는 심판의 메세지가 전해졌지만, 유다 백성에게는 위로의 말씀이 주어진다. While a message of judgment was declared to Nineveh, a word of comfort was given to the people of Judah. 나 1:15, “볼지어다 아름다운 소식을 알리고 화평을 전하는 자의 발이 산 위에 있도다 유다야 네 절기를 지키고 네 서원을 갚을지어다 악인이 진멸되었으니 그가 다시는 네 가운데로 통행하지 아니하리로다” Nahum 1:15, “Look, there on the mountains, the feet of one who brings good news, who proclaims peace! Celebrate your festivals, Judah, and fulfill your vows. No more will the wicked invade you; they will be completely destroyed.” 보복의 날, 곧 니느웨의 멸망은 유다에게는 평화의 시작이었다. The day of vengeance—the fall of Nineveh—marked the beginning of peace for Judah. 하나님은 악을 절대 그냥 두지 않으셨다. God never lets evil go unpunished. 하나님은 당신의 백성이 억울한 일을 당하고 무고하게 고통받을 때 분노하신다. God becomes angry when His people suffer injustice and pain without cause. 하나님은 방관자가 아니라, 반드시 악을 심판하시는 정의의 하나님이시다. God is not a passive observer, but a righteous Judge who surely punishes evil. 이것이 위로다. This is our comfort. 니느웨의 멸망은 단지 적의 패배가 아니라, 하나님의 공의가 회복되고, 유다의 자유가 회복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fall of Nineveh was not merely the defeat of an enemy but the restoration of God’s justice and Judah’s freedom. 그리하여 나훔은 “아름다운 소식을 알리고 화평을 전하는 자의 발이 예루살렘의 산들을 넘어 오게 될 것”이라고 선포한 것이다. That is why Nahum proclaimed, “The feet of one who brings good news and proclaims peace will come over the mountains of Jerusalem.”
이처럼 하나님의 보복은 반드시 위로로 이어진다. In this way, God’s vengeance always leads to comfort. 성경은 우리에게 “여호와의 은혜의 해”를 선포하지만, 동시에 “하나님의 보복의 날”도 선포한다. The Bible proclaims to us both “the year of the Lord’s favor” and also “the day of our God’s vengeance.” 사 61:2, “여호와의 은혜의 해(שנת רצון)와 우리 하나님의 보복의 날(יום נקם)을 선포하여 모든 슬픈 자를 위로하되” Isaiah 61:2, “To proclaim the year of the Lord’s favor and the day of vengeance of our God, to comfort all who mourn.” 우리는 여기서 놀라운 병행을 본다. We see here a remarkable parallel. 그것은 보복의 날이 위로의 날이 된다는 것이다. It is that the day of vengeance becomes a day of comfort. 그 보복은 고통 당한 자들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This vengeance is for those who have suffered. 억울하게 당한 자들, 무고하게 학대 받은 자들, 그들의 눈물을 하나님은 기억하시고, 그들에게 정의를 돌려주시는 것이다. God remembers the tears of those who were wronged and unjustly abused, and He restores justice to them. 따라서 하나님의 보복의 날, ‘욤 나캄’을 선포하는 것은 모든 슬픈 자에게 위로를 주는 복음인 것이다. Therefore, proclaiming the Day of God’s vengeance—Yom Naqam—is a gospel of comfort to all who mourn. 이 보복의 날은 단지 심판의 날이 아니라, 모든 슬픈 자들에게 구원과 회복의 날이 되는 것이다. This day of vengeance is not merely a day of judgment but a day of salvation and restoration for all who grieve. 나훔 선지자는 니느웨를 향한 보복의 날을 선포했다. The prophet Nahum proclaimed the day of vengeance against Nineveh. 그런데 나훔의 이름은 ‘위로’라는 뜻이다. Interestingly, the name “Nahum” means “comfort.” 예수님이 공생애를 보내신 곳이 ‘가버나움’인데, 이곳이 히브리어로는 ‘크파르 나훔,’ 즉 ‘위로의 마을’이란 뜻이다. The place where Jesus carried out His public ministry was Capernaum, which in Hebrew is Kfar Nahum, meaning “Village of Comfort.” 나훔이 선포했던 하나님의 보복은 그의 이름처럼 유다 백성들에게는 가장 큰 위로가 되었기에 하나님은 ‘위로’라는 이름의 뜻을 가진 나훔에게 ‘욤 나캄’을 선포하게 하신 것이 아니었을까? Could it be that God appointed Nahum, whose name means “comfort,” to proclaim Yom Naqam because His vengeance would be the greatest comfort for His people?
보복의 날을 선포하는 것, 즉 하나님이 보복하시는 분이시라는 사실은 지금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 What does it mean for us today to proclaim the day of vengeance—that God is the one who avenges? 잠시 개인적인 얘기를 하겠다. Let me share a personal story. 나는 2대 독자라 6개월 방위로 군복무를 했다. I served a shortened 6-month military term because I was the only son in my family. 18개월 복무해야 하는 다른 선임 방위병들에게 6개월 방위는 ‘못마땅한 존재’였다. To the other soldiers who had to serve 18 months, this shorter service was seen as unfair. 어느 날 같은 소대 상병이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나를 갈궜다. One day, a senior in my unit humiliated me in front of many others. 태권도 도복 띠를 내 목에 묶고 나를 개처럼 끌고 다니며 놀렸다. He tied a taekwondo belt around my neck and dragged me like a dog. 인격적인 모욕감을 느끼는 동시에 복수심이 타올랐다. I felt deeply humiliated and consumed with a desire for revenge. 며칠 동안 괴로웠다. I was tormented for days. 그러다가 성경을 읽었다. Then I read the Bible. 롬 12:19, “내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친히 원수를 갚지 말고 하나님의 진노하심에 맡기라 기록되었으되 원수 갚는 것이 내게 있으니 내가 갚으리라고 주께서 말씀하시니라” Romans 12:19, “Beloved, do not avenge yourselves, but leave it to the wrath of God, for it is written: ‘Vengeance is Mine; I will repay,’ says the Lord.” 나는 이 말씀을 따랐다. I chose to follow this Word. 나의 분노, 복수심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보복의 날을 선포했다. I laid down my anger and desire for revenge, and proclaimed the Day of the Lord’s vengeance – Yom Naqam. 그것이 나에게 자유를 주었다. That gave me freedom. “하나님이 친히 원수를 갚겠다는”는 말씀이 내게 위로가 되었다. The promise that “God Himself will repay” became a great comfort to me.
하나님의 보복의 날, 욤 나캄은 과거의 사건 만이 아니다. The Day of God’s vengeance—Yom Naqam—is not merely a past event. “거룩하고 참되신 대주재여 땅에 거하는 자들을 심판하여 우리 피를 갚아 주지 아니하시기를 어느 때까지 하시려 하나이까?(계 6:10)” “Sovereign Lord, holy and true, how long before You judge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and avenge our blood?” (Revelation 6:10) 요한 계시록에 나오는 순교자들의 이 외침은 나캄을 기다리는 간구이다. This cry from the martyrs in Revelation is a plea for Naqam. 그리고 하나님의 응답은 분명하다. And God’s answer is clear. 계 22:12,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각 사람에게 그의 행한 대로 갚아 주리라.” Revelation 22:12, “Behold, I am coming soon, bringing My recompense with Me, to repay each one for what he has done.” 그날은 심판의 날인 동시에 위로의 날이 될 것이다. That day will be both a day of judgment and a day of comfort. 하나님의 나캄은 세상의 악을 끝내는 심판이며, 의인에게는 영원한 위로를 주는 완성인 것이다. God’s naqam is a judgment that puts an end to the evil of the world, and for the righteous, it is the fulfillment that brings eternal comfort.”
이 마지막 보복의 날을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How should we prepare for this final Day of Vengeance? 먼저 회개로 준비해야 한다. First, we must prepare through repentance. 바울은 말한다. “지금은 은혜 받을 만한 때요,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 (고후 6:2) Paul says, “Now is the time of God’s favor, now is the day of salvation.” (2 Corinthians 6:2) 오늘 회개하지 않으면, 그날은 심판의 날이 된다. If we do not repent today, that day will become a day of judgment. 둘째, 우리는 믿음으로 준비해야 한다. Second, we must prepare through faith. 그날은 억울한 자, 고통받는 자에게 위로의 날이 될 것이다. That day will be a day of comfort for the wronged and the suffering. 눈물로 씨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곡식단을 거둘 것이다. Those who sow in tears will reap with songs of joy. 셋째 우리는 복수를 내려놓고 용서로 그 날을 준비해야 한다. Third, we must lay down vengeance and prepare the day through forgiveness. 여러분의 삶에도 이해할 수 없는 억울함, 악인의 형통으로 인한 고통이 있을 것이다. In your life, you may face unjust suffering and pain caused by the success of the wicked. 그러나 하나님은 보복하시는 하나님이시다. But God is the One who avenges. 그분이 친히 원수를 갚으신다. He Himself will repay our enemies. 그러므로 우리는 보복하지 않고, 하나님의 나캄을 기다릴 수 있다. Therefore, we do not take revenge, but wait for God’s Naqam. 그 기다림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산성 안에 거하게 되는 것이다. In that waiting, we find our refuge in God’s fortress.
하나님의 진노는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절정을 이룬다. God’s wrath reaches its climax at the cross of Jesus Christ. 십자가는 하나님의 보복의 자리라고 할 수 있다. The cross can be seen as the place of God’s vengeance.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이시기에 죄를 그냥 넘어가실 수 없었다. Because God is just, He could not overlook sin. 죄로 인해 하나님의 영광에 이를 수 없는 우리 인간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야 마땅했다. Because of sin, we who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deserved His judgment. 그러나 하나님은 자신의 아들에게 진노하심으로,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셨다. But God poured out His wrath on His own Son in order to save us from sin. 십자가는 하나님의 진노와 사랑이 만나는 곳이었다. The cross is where God’s wrath and love meet. 성경은 말한다. The Bible says, 요 3:16,18,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그를 믿는 자는 심판을 받지 아니하는 것이요 믿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의 독생자의 이름을 믿지 아니하므로 벌써 심판을 받은 것이니라” John 3:16,18,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Whoever believes in Him is not condemned, but whoever does not believe stands condemned already because he has not believed in the name of God’s one and only Son.” 예수님을 믿는 자는 보복의 날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Those who believe in Jesus no longer fear the Day of Vengeance. 그날은 심판이 아니라 구원의 날, 위로의 날이 되기 때문이다. For that day becomes not a day of judgment, but a day of salvation and comfort.
나훔서는 우리에게 두려운 하나님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다. The book of Nahum does not intend to present a fearful God. 그분은 정의롭고 열정적이며 언약을 지키시는 하나님, 악에 대해 분노하시고, 백성에게는 피난처가 되시는 하나님이시다. He is a God of justice and passion, who keeps His covenant, is angry at evil, and becomes a refuge for His people. 하나님의 분노는 사랑 없는 폭력이 아니라, 사랑에서 나오는 의로운 반응이다. God’s wrath is not merciless violence, but a righteous response that flows from His love. 그 분노 덕분에 우리는 위로를 얻는다. Because of that wrath, we find comfort. 그래서 하나님의 보복의 날, 욤 나캄은 공포의 날이 아니다. Therefore, the Day of God’s vengeance—Yom Naqam—is not a day of terror. 하나님의 정의와 위로가 회복되는 날이다. It is the day when God’s justice and comfort are restored. 그러나 그 날은 준비된 자에게만 기쁨의 날이다. But it will be a joyful day only for those who are prepared. 우리는 나훔서의 니느웨처럼 되어선 안 된다. We must not become like Nineveh in the book of Nahum. 하나님의 은혜의 해를 경험하고서도 하나님과 상관 없이 살아선 안된다. We must not live apart from God even after experiencing His year of favor. 오늘이 은혜의 날이라면, 장차 다가 올 하나님의 보복의 날, 욤 나캄은 위로의 날이 될 것이다. If today is the day of grace, then the coming Day of God’s vengeance—Yom Naqam—will be a day of comfort. 그 날, 주님은 모든 눈물을 우리의 눈에서 닦아 주실 것이다. On that day, the Lord will wipe away every tear from our eyes.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있지 않을 것이다. There will be no more death, mourning, crying, or pain. 바라기는 회개하고, 복음을 붙들며, 하나님의 보복의 날을 준비하고 기다리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I pray in Jesus’ name that we all repent, hold fast to the gospel, and prepare and wait for the Day of God’s vengeance. A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