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2025년 8월 2일 설교 이익환 목사
Prophet 12: 에스겔 1 – 부르심의 대가
“인자야 내가 네 눈에 기뻐하는 것을 한 번 쳐서 빼앗으리니 너는 슬퍼하거나 울거나 눈물을 흘리거나 하지 말며 죽은 자들을 위하여 슬퍼하지 말고 조용히 탄식하며 수건으로 머리를 동이고 발에 신을 신고 입술을 가리지 말고 사람이 초상집에서 먹는 음식물을 먹지 말라 하신지라” (겔 24:16-17) “Son of man, with one blow I am about to take away from you the delight of your eyes. Yet do not lament or weep or shed any tears. Groan quietly; do not mourn for the dead. Keep your turban fastened and your sandals on your feet; do not cover your mustache and beard or eat the customary food of mourners.” (Ezekiel 24:16–17)
여러분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call of God in your life? 우리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을 때,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할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Have you ever thought about what cost you might have to pay when God calls you? 부르심은 영광스러운 것이다. The calling is a glorious thing.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떠한 자리에나 사명에 부르셨다면, 그것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계획에 참여하게 되는 특권이기에, 그 부르심은 말할 수 없이 영광스러운 것이다. If God has called you to a position or mission, it is a privilege to participate in the sovereign plan of God, and that makes the calling indescribably glorious. 그러나 부르심에는 종종 치러야 할 대가가 요구된다. But often, the calling requires a cost. 에스겔은 다른 어떤 선지자들보다 놀라운 하나님의 영광을 환상 가운데 본 사람이었다. Ezekiel saw the glory of God in a vision more remarkable than any other prophets. 그러나 그가 그 영광을 따라 산다는 것은 고통과 외로움, 침묵과 상실, 그리고 철저한 순종을 의미했다. Yet to follow that glory meant pain, loneliness, silence, loss, and complete obedience. 하나님은 그를 말만 잘하는 선지자가 아니라, 말씀을 “몸으로 살아내는” 선지자로 부르셨다. God did not call him to be just a speaker, but a prophet who lived out the Word. 오늘 우리는 에스겔이 하나님 말씀을 전하기 위해 어떠한 대가를 치렀는지 함께 살펴보며 우리에게 주시는 주님의 음성을 듣고자 한다. Today, we want to reflect on the cost Ezekiel paid to deliver God’s Word and listen to what the Lord is saying to us.
겔 1:1-2, “서른째 해 넷째 달 초닷새에 내가 그발 강 가 사로잡힌 자 중에 있을 때에 하늘이 열리며 하나님의 모습이 내게 보이니 여호야긴 왕이 사로잡힌 지 오 년 그 달 초닷새라.” Ezekiel 1:1-2, “In my thirtieth year, in the fourth month on the fifth day, while I was among the exiles by the Kebar River, the heavens were opened and I saw visions of God. On the fifth of the month—it was the fifth year of the exile of King Jehoiachin.” 예루살렘 침공은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세 차례 이루어진다. The conquest of Jerusalem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by King Nebuchadnezzar of Babylon. 1차는 주전 605년이다. 이 때 다니엘을 비롯한 귀족들이 포로로 잡혀갔다. The first occurred in 605 BC, when Daniel and other nobles were taken into captivity. 2차는 주전 597년이다. 이 때 여호야긴 왕과 함께 귀족들, 제사장들, 기술자들 등 약 만 명이 바벨론으로 끌려갔다. The second was in 597 BC, when King Jehoiachin, along with nobles, priests, and skilled workers—about ten thousand people—were taken to Babylon. 에스겔도 이 때 함께 포로로 끌려간 제사장 가문의 사람이었다. Ezekiel was among them, a man from a priestly family taken into exile. 3차는 주전 586년이다. 이 침공으로 예루살렘이 멸망했고, 시드기야 왕과 백성들이 포로로 잡혀갔다. The third invasion was in 586 BC, when Jerusalem was destroyed and King Zedekiah and the people were taken captive. 에스겔은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와 그의 나이 서른 살에 선지자로 부름을 받았다. Ezekiel was taken to Babylon and received his prophetic call at the age of thirty. 30세는 유대 율법에 의하면 제사장으로서 역할을 시작하는 공식적인 나이다. According to Jewish law, thirty was the official age to begin the priestly ministry. 에스겔이 선지자로 부름을 받은 건 주전 593년의 일이니까, 그가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온 지 5년 째 되던 해였고, 예루살렘이 멸망하기 7년 전이었다. Ezekiel was called in 593 BC, five years after his exile, and seven years before the fall of Jerusalem. 그는 바벨론의 텔아빕에서 약 22년간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선지자로 활동했다. He ministered as a prophet in Tel Abib, Babylon, about twenty-two years.


에스겔이 계시를 받은 곳은 그발 강가였다. The place where Ezekiel received the vision was the Kebar River. 시편에 이런 표현이 있다 We find these words in the Psalms: 시 137:1,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에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Psalm 137:1, “By the rivers of Babylon we sat and wept when we remembered Zion.” 포로로 끌려간 사람들이 예루살렘을 그리워하며 기도하기 위해 모인 곳이 바벨론의 여러 강변이었다. The exiles gathered by the rivers of Babylon to pray and remember Jerusalem. 그발 강가도 그 중 하나였을 것이다. The Kebar River was likely one of those rivers. 거기서 에스겔에게 계시가 임한 것이다. It was there that the vision of God came to Ezekiel. 포로로 잡혀 와 낙심 중에 있을 때에 하늘이 열린 것이다. While in captivity and despair, the heavens were opened. 하나님의 부르심은 생각지 못한 때에 그에게 일어났다. God’s calling came to him at an unexpected time. 그러나 그 부르심은 엄청난 대가를 요구하는 부르심이었다. But that calling was one that demanded a heavy price. 에스겔이 이 부르심을 수행하기 위해 치러야 할 대가가 무엇이었을까? What was the cost that Ezekiel had to pay to fulfill this calling?
첫번째 에스겔이 치러야 했던 대가는 사람들의 무관심이었다. The first cost Ezekiel had to bear was the indifference of the people.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직접 이렇게 말씀하셨다. God spoke to Ezekiel directly and said: 겔 2:3, “인자야 내가 너를 이스라엘 자손 곧 패역한 백성, 나를 배반하는 자에게 보내노라” Ezekiel 2:3, “Son of man, I am sending you to the Israelites, to a rebellious nation that has rebelled against me.” 하나님께서 에스겔을 보내셨다면 우리는 이제 백성들이 그의 외침을 듣고 회개하는 이야기를 기대한다. If God sent Ezekiel, we might expect to hear stories of people repenting in response to his message. 그러나 그들은 쉽지 않은 백성들이었다. But they were not an easy people. 그리하여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다음과 같이 주문하신다. So God gave Ezekiel this command. 겔 2:4-5, “이 자손은 얼굴이 뻔뻔하고 마음이 굳은 자니라… 그들이 듣든지 아니 듣든지 그들 가운데에 선지자가 있음을 알지니라.” Ezekiel 2:4–5, “The people to whom I am sending you are obstinate and stubborn… whether they listen or fail to listen—for they are a rebellious people—they will know that a prophet has been among them.” 하나님의 부르심 그 자체는 너무도 영광스러운 것이었지만 에스겔은 사람들의 무반응을 각오해야 했다. God’s calling itself was glorious, but Ezekiel had to be prepared for the people’s lack of response. 사람들이 반응하지 않을 때 사역자는 상처 받는다. When people do not respond, the messenger often gets hurt. 오늘날에도 우리는 말씀을 전해도 반응 없는 사람들을 마주한다. Even today, we sometimes face unresponsive hearts when we share God’s word. 부모로서, 교사로서, 전도자로서 낙심한 적이 있지 않았는가? Have you ever felt discouraged as a parent, teacher, or evangelist? 그러나 에스겔은 사람들의 무반응에도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야 했다. Yet Ezekiel had to proclaim God’s word regardless of the people’s response. 그 이유는 하나님 말씀을 듣지 못하고 멸망한 자에 대한 책임을 그에게서 찾겠다고 하나님께서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Why? Because God said He would hold Ezekiel accountable for those who perish without hearing the warning. 겔 3:18, “가령 내가 악인에게 말하기를 너는 꼭 죽으리라 할 때에… 그 악인은 그의 죄악 중에서 죽으려니와 내가 그의 피 값을 네 손에서 찾을 것이고” Ezekiel 3:18, “When I say to a wicked person, ‘You will surely die,’ and you do not warn them… that wicked person will die for their sin, and I will hold you accountable for their blood.” 그래서 하나님이 부르신 사람들에겐 사람들의 무반응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 전해지는 것이 더 중요한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So for those whom God calls, the focus is not on how people respond but on whether God’s message is delivered.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사람들이 “네 말을 듣고도 행하지 아니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God told Ezekiel, “They will hear your words but not put them into practice.” 그러나 “그 말이 응하리니 응할 때에는 그들이 한 선지자가 자기 가운데 있었음을 알리라”(겔 33:33)고 하셨다. But He also said, “When all this comes true—and it surely will—then they will know that a prophet has been among them.” (Ezek. 33:33) 따라서 에스겔은 실제 예루살렘 멸망이 이루어질 때까지 7년 동안 철저히 외로운 사명의 길을 가야 했던 것이다. Therefore, Ezekiel had to walk a lonely road of obedience for seven years until the fall of Jerusalem became reality. 이런 일은 우리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 This can happen to us as well. 하나님께서 보내시는 부르심의 자리라고 할지라도 우리가 기대하는 열매가 맺히지 않을 수도 있다. Even if the place to which God sends us is His chosen calling, the fruit we hope for may not come. 하나님이 주신 사명을 시작도 하기 전에 열매가 없을 것이라고 말씀하실 때 과연 우리는 그 사명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What if God tells us, before we even begin, that there will be no fruit? 그러나 하나님의 부르심은 때론 우리가 원하는 열매와 결과가 없어도 끝까지 순종해야 하는 것이다. Still, the call of God must be obeyed to the end—even when the results we desire are absent. 결국, 사람들의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에스겔은 외로움을 감수하며 말씀을 선포해야 했다. In the end, Ezekiel had to proclaim God’s word despite the people’s indifference, enduring solitude. 이것이 그의 첫 번째 대가였다. This was the first cost he had to pay.
두번째 에스겔이 치러야 했던 대가는 기다림이었다. The second cost Ezekiel had to bear was waiting.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God said to Ezekiel: 겔 3:26-27, “내가 네 혀를 네 입천장에 붙게 하여 네가 말 못하는 자가 되어 그들을 꾸짖는 자가 되지 못하게 하리니 그들은 패역한 족속임이니라 그러나 내가 너와 말할 때에 네 입을 열리니 너는 그들에게 이르기를 주 여호와의 말씀이 이러하시다 하라 들을 자는 들을 것이요 듣기 싫은 자는 듣지 아니하리니 그들은 반역하는 족속임이니라” Ezekiel 3:26-27, “I will make your tongue cling to the roof of your mouth so that you will be silent and unable to rebuke them, for they are a rebellious people. But when I speak to you, I will open your mouth, and you shall say to them, ‘This is what the Sovereign LORD says.’ Those who listen, listen; and those who refuse, refuse—for they are a rebellious people.” 하나님은 에스겔의 혀를 붙잡아, 그가 하나님의 허락 없이는 말하지 못하게 하셨다. God restrained Ezekiel’s tongue so that he could not speak unless God permitted him. 그는 하나님이 자신에게 말씀을 주시는 순간을 철저히 기다릴 수 밖에 없었다. He had no choice but to wait faithfully for God’s timing to speak. 그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시는 말씀을 그대로 전해야 하는 부르심을 받았다. His calling was to speak exactly what God gave him, not his own words. 이것은 사람들의 환영을 받을 수 없는 고독한 일이다. This was a lonely task that was not welcomed by people. 에스겔은 선지자로 부르심을 받은 후부터 예루살렘이 함락되기까지 약 7년 간을 벙어리로 지내야 했다. Ezekiel remained silent for about seven years from his calling until the fall of Jerusalem. 이와 같이 에스겔은 말할 자유를 상실한 채, 오직 하나님이 입을 여실 때를 기다리며 사역을 해야 했던 것이다. Thus, he lost the freedom to speak and had to wait for God to open his mouth to prophesy. 이것이 그의 두 번째 대가였다. This was his second cost.
세번째 에스겔이 치러야 했던 대가는 절대 순종이었다. The third cost Ezekiel had to bear was absolute obedience. 하나님은 그에게 상징적인 행위로 하나님의 뜻을 전하게 하셨다. God commanded him to communicate His will through symbolic acts. 겔 4:4-6, “너는 또 왼쪽으로 누워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짊어지되 네가 눕는 날수대로 그 죄악을 담당할지니라 내가 그들의 범죄한 햇수대로 네게 날수를 정하였나니 곧 삼백구십 일이니라 너는 이렇게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담당하고 그 수가 차거든 너는 오른쪽으로 누워 유다 족속의 죄악을 담당하라 내가 네게 사십 일로 정하였나니 하루가 일 년이니라” Ezekiel 4:4-6, “Lie on your left side and put the sin of the people of Israel upon yourself. You are to bear their sin for the number of days you lie on your side. I have assigned you the same number of days as the years of their sin—390 days. So you will bear the sin of the people of Israel. When you have finished this, lie on your right side and bear the sin of the people of Judah for forty days. I have assigned you one day for each year.” 에스겔은 왼쪽으로 390일, 오른쪽으로 40일을 누워 지내야 했다. Ezekiel had to lie on his left side for 390 days and on his right side for 40 days. 이처럼 그는 총 430일을 누워서 지냄으로 그들의 죄악을 담당했다. In this way, he bore their sins by lying down for a total of 430 days. 에스겔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430년 동안 하나님께 범죄했음을 알리기 위해 자신의 몸으로 고통을 당하며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해야 했던 것이다. Ezekiel had to suffer physically to deliver God’s message, showing that the Israelites had sinned against God for 430 years. 또한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이십 세겔의 분량의 떡을 만들어 삼백 구십일 동안 먹으라고 하셨다. God also commanded Ezekiel to make bread weighing twenty shekels and eat it for 390 days. 이십 세겔은 228g의 음식이었고, 이는 예루살렘 백성이 바벨론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을 때 기근으로 먹어야 하는 분량을 의미했다. Twenty shekels equal 228 grams, representing the meager food ration Jerusalem’s people had to eat during the Babylonian siege. 에스겔은 이처럼 일년이 넘는 기간 동안 소량의 음식과 물만 먹는 고통을 당해야 했다. Ezekiel endured the hardship of eating only small amounts of food and water for over a year. 그는 또한 떡을 만들 때 사람의 똥을 말린 것으로 불을 지펴야 했다. He was also commanded to bake his bread using human dung as fuel.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열방으로 흩어졌을 때에 부정한 음식을 먹는 것에 대한 예언이었다. This symbolized the unclean food the Israelites would eat when scattered among the nations. 이처럼 에스겔은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일이라면 그것이 사람들 눈에 이상하게 보이는 일일지라도 그대로 순종했다. Ezekiel obeyed completely, even when the commands appeared strange to others. 절대 순종, 그것이 그의 세 번째 대가였다. Absolute obedience—this was his third cost.
네번째 에스겔이 치러야 했던 대가는 권리 포기였다. The fourth cost Ezekiel had to bear was the relinquishment of personal rights. 하나님은 그에게 말씀하셨다. God said to him: 겔 24:16-17, “인자야 내가 네 눈에 기뻐하는 것을 한 번 쳐서 빼앗으리니 너는 슬퍼하거나 울거나 눈물을 흘리거나 하지 말며 죽은 자들을 위하여 슬퍼하지 말고 조용히 탄식하며 수건으로 머리를 동이고 발에 신을 신고 입술을 가리지 말고 사람이 초상집에서 먹는 음식물을 먹지 말라 하신지라” Ezekiel 24:16-17, “Son of man, I am going to take away from you the delight of your eyes with a single blow. Do not mourn or weep or shed tears. Do not grieve or lament; bind your head and put on your sandals. Do not cover your lips and do not eat the food people eat at a funeral.” 하나님은 에스겔의 눈에 기뻐하는 것을 쳐서 빼앗을 것이라고 하셨다. 그것이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그의 아내였다. God told Ezekiel that He would take away from him what he loved most—his wife.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아내가 죽어도, 슬퍼하지도 말고 눈물도 흘리지 말라고 하셨다. 이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눈에 기쁨이었던 예루살렘 성전이 무너질 때, 그들의 충격이 너무 커서 울지도 못할 것을 미리 보여주는 상징이었다. God commanded Ezekiel not to mourn or weep even when his wife died, symbolizing how the people of Israel would be so shocked by the fall of the Jerusalem temple that they could not even cry. 에스겔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아내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았다. Ezekiel obeyed God’s command and did not mourn when his wife died: 겔 24:18, “내가 아침에 백성에게 고하였더니 저녁에 내 아내가 죽기로 아침에 내가 받은 명령대로 행하매” Ezekiel 24:18, “At the break of day I announced to the people what I had been commanded, and at the same time my wife died. And I did as I was commanded.” 에스겔은 인간적 아픔보다 하나님의 메시지를 우선시 해야 했다. Ezekiel had to prioritize God’s message over his personal grief. 구약에서 대제사장은 죽은 자들을 위해 슬퍼하며 시체에 가까이할 수 없었다. 심지어 부모가 죽었어도, 가까이 가거나 애도의 행위를 할 수 없었다. In the Old Testament, the high priest was not allowed to mourn or come near the dead, even if his parents died, to maintain purity. 죽음을 슬퍼하는 것은 인간적인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대제사장은 하나님의 생명과 임재를 대표하기 때문에, 죽음과 부정의 접촉에서 철저히 구별되어야 했다. Mourning is a natural human emotion, but the high priest, representing God’s life and presence, had to be set apart from death and impurity. 에스겔은 제사장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제사장으로서의 사역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죽음보다 우선함을 보여준다. Ezekiel came from a priestly family, and his ministry showed that relationship with God is above death. 그는 하나님의 임재를 대표하는 자로 아내의 죽음으로 인한 애도의 감정에 얽매일 수 없었다. As one who represented God’s presence, he could not be bound by mourning over his wife’s death. 에스겔의 행동은 예루살렘 멸망에 대한 상징적 예언이었다. Ezekiel’s action was a symbolic prophecy of Jerusalem’s destruction. 그의 행동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끊어진 슬픔”은 “아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보다 크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It conveyed the message that the grief of being cut off from God was greater than personal grief over his wife’s death. 이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충격적인 메시지로 전달되었을 것이다. This must have been a shocking message to the people of Israel. 에스겔은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지 않음으로써 이스라엘 백성에게 예루살렘의 파괴가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가 깨진 것임을 강조했다. By not mourning his wife’s death, Ezekiel emphasized that Jerusalem’s destruction meant the breaking of the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그는 그렇게 함으로 그들에게 진정한 슬픔은 개인적인 죽음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이 성소를 떠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In doing so, he showed them that true sorrow was not personal death but God’s glory departing from the sanctuary. 결국 에스겔은 아내의 죽음 앞에서도 슬퍼하지 않음으로써 ‘제사장적 선지자’로 부름 받은 자의 전적 헌신과 권리 포기를 보여주었다. Ultimately, by not mourning his wife’s death, Ezekiel demonstrated the total dedication and surrender of rights expected of a priestly prophet. 이것이 그의 네 번째 대가였다. This was his fourth cost.
오늘 에스겔서 말씀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What is the message that the Book of Ezekiel speaks to us today? 그것은 하나님은 지금도 “몸으로 말씀을 살아낼 자”를 부르신다는 것이다. It is that God still calls those who will embody His word with their lives. 이 시대의 선지자는 말의 능력이 아니라 삶의 능력으로 말해야 한다. Prophets today must speak not with eloquence, but with the power of a faithful life. 부르심에는 언제나 대가가 따른다. The calling of God always comes with a cost. 그 부르심은 종종 외로움과 오해, 상실의 길로 우리를 인도할 수 있다. That calling may lead us down paths of loneliness, misunderstanding, and loss. 에스겔처럼, 우리는 우리의 “눈에 기쁨”을 잃는 아픔을 경험할 수도 있다. Like Ezekiel, we may have to lose what we cherish most. 그러나 하나님은 그런 헌신을 통해 회복과 소망을 전하신다. Yet through such sacrifice, God brings restoration and hope.

디트리히 본회퍼 목사는 이렇게 말했다: “그리스도께서 어떤 사람을 부르실 때, 그는 그 사람에게 와서 죽으라고 부르신다.” Dietrich Bonhoeffer once said, “When Christ calls a man, He bids him come and die.” 에스겔은 하늘의 영광을 본 사람이었지만, 그 영광을 위해 고난의 삶을 살았다. Ezekiel saw the glory of heaven, yet lived a life of earthly suffering for it. 그는 하나님의 말씀만 전하기 위해 침묵했다. He kept silence to proclaim only God’s word. 그는 연설보다 행동으로 말을 했고,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보다 하나님을 먼저 사랑했다. He spoke more by his actions than words, loving God above even those he loved most.
혹 지금 하나님의 부르심 앞에 망설이는 사람이 있다면, 순종할 용기를 구하자. If you are hesitating before God’s call, ask Him for the courage to obey. 삶으로 복음을 살아내기 위해 내가 내려놓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What must I lay down in order to live the gospel with my life? 지금 이 시대는 말 많은 선지자가 아니라, 말씀을 몸으로 사는 예언자를 필요로 한다. This generation doesn’t need talkative prophets—it needs those who live the Word. 에스겔처럼, 하나님의 말씀이 임한 그 자리에 서고, 그 대가를 기꺼이 치르며,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Like Ezekiel, may we stand where the Word of God comes, willingly pay the cost, and proclaim His will—this I pray in Jesus’ 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