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het 13: 에스겔 2 – 여호와 삼마

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2025년 8월 9일 설교 이익환 목사

Prophet 13: 에스겔 2 – 여호와 삼마

그 사방의 합계는 만 팔천 척이라 그 날 후로는 그 성읍의 이름을 여호와삼마라 하리라” (겔 48:35) “The total circumference will be eighteen thousand cubits. And the name of the city from that day shall be: The LORD is There.” (Ezekiel 48:35)

지난 주 우리는 에스겔이 선지자로 부름 받아 치러야했던 대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Last week, we reflected on the cost Ezekiel had to bear in response to his prophetic calling. 그는 포로로 끌려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서도 고통스런 퍼포먼스들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전해야 했다. He was taken into exile and had to deliver God’s message through painful performances despite the people’s indifference. 삶의 유일한 동반자인 아내의 죽음 앞에서도 그는 슬퍼하지 못하고, 하나님과의 관계가 끊어진 이스라엘의 충격적인 현실을 전해야 했다. Even in the face of the death of his only companion in life—his wife—he was not allowed to mourn, but had to proclaim the shocking reality of Israel’s broken relationship with God. 이제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순종한 에스겔에게 에스겔서 37장, 마른 뼈가 일어나는 환상을 통해 부활의 소망을 주셨다. Now, to Ezekiel who had obeyed everything, God gave the vision of dry bones coming to life in Ezekiel 37—a promise of resurrection and hope. 그리고 40장부터 48장까지 성전 환상을 통해 이스라엘에 하나님의 영광이 회복될 것을 보여주시며 새로운 소망을 품게 하셨다. And through the temple vision in chapters 40 to 48, God showed that His glory would be restored to Israel, filling them with a new hope. 탈무드에 의하면 에스겔 40–48장의 성전 환상이 너무 어려워서 서른 살이 되기까지 그 본문을 읽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According to the Talmud, the temple vision in Ezekiel 40–48 was so difficult that people were not allowed to read it until the age of thirty. 또한 어린 아이들이 이 본문을 읽고 무슨 뜻인지 물어보면, 엘리야가 오면 가르쳐 줄 것이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And if children asked what it meant, the answer was, “When Elijah comes, he will explain it.” 오늘 우리가 이 성전 환상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Today we will examine this temple vision. 우리에게 주시는 주님의 음성을 듣는 시간이 되길 소망한다. May this be a time for us to hear the voice of the Lord.

에스겔서 1–39장은 이스라엘의 죄와 그에 대한 심판과 멸망의 메시지로 가득하다. Ezekiel chapters 1–39 are filled with messages of Israel’s sin, judgment, and destruction. 에스겔이 포로로 잡혀온 지 6년째 되는 해, 즉 주전 592년 하나님은 에스겔을 환상 중에 예루살렘으로 데려 가신다. In the sixth year of Ezekiel’s exile, that is, in 592 BCE, God took him in a vision to Jerusalem. 에스겔은 거기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우상 숭배의 실상을 보게 된다. There, Ezekiel was shown the reality of Israel’s idolatry. 그들은 성전 제단 문 어귀에 ‘질투의 우상’을 세웠다. They had set up a “jealousy idol” at the entrance of the temple altar gate. 그들은 하나님의 임재가 있는 곳 가장 가까이에 하나님이 가장 싫어하시는 우상을 세운 것이다. They placed what God hated most right next to the place of His presence. 에스겔은 이어서 예루살렘 성 담 안에서 장로 70인이 남들 몰래 향로를 들고 우상숭배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Ezekiel then witnessed seventy elders of Israel secretly offering incense to idols within the walls of Jerusalem. 하나님을 대신하여 백성을 섬겨야 할 장로들이, 오히려 몰래 우상을 섬기는 자들로 전락한 것이다. The elders who were supposed to serve the people on God’s behalf had instead become secret idol worshipers. 에스겔은 이어서 성전에 들어가는 문에서 여인들이 담무스를 위해 애곡하는 장면을 보게 된다. Ezekiel then saw women weeping for Tammuz at the entrance of the temple. 담무스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나오는 풍요와 생명의 신이다. Tammuz was the Mesopotamian god of fertility and life. 매년 7월, 담무즈 달에 그가 지하세계로 내려가면서 땅이 메말라지고 곡식이 시든다는 신화가 있다. There was a myth that each year in the month of Tammuz (July), he descended to the underworld, causing the land to dry and crops to wither. 그래서 여인들은 죽은 신 담무스를 위하여 슬퍼하며 애곡하는 의식을 행하는 것이다. So women performed mourning rituals for the dead god Tammuz. 풍요를 바라는 잘못된 우상 숭배인 것이다. It was a form of misguided idolatry in the hope of prosperity. 또한 에스겔은 성전 앞에서 스물 다섯 명 가량의 사람이 성전을 등지고 동쪽 태양에 경배하는 장면을 본다. Ezekiel also saw about twenty-five men at the entrance of the temple, turning their backs to the temple and worshiping the sun toward the east. 하나님 백성의 리더들이 성전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등지고, 이방 신을 향해 절할 때 하나님의 영광은 더 이상 그들과 함께 할 수 없다. When the leaders of God’s people in the temple turned their backs on God’s presence and bowed to foreign gods, God’s glory no longer dwelled with them. 그래서 에스겔 10장에서는 하나님의 영광이 성전을 떠나는 장면이 나온다. Thus, in Ezekiel 10, we see the scene of God’s glory departing from the temple. 그리고 6년 뒤인 주전 586년 예루살렘은 멸망한다. Six years later, in 586 BC, Jerusalem was destroyed. “예루살렘 성전이 왜 파괴되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분명하다. “Why was the temple in Jerusalem destroyed?” The answer is clear. 여호와의 영광이 거기를 떠났기 때문이다. Because the glory of the LORD had departed. 왜 여호와의 영광이 예루살렘 성전을 떠났는가? Why did the glory of the LORD leave the Jerusalem temple? 그것은 지도자와 백성들이 거기서 죄를 지었기 때문이다. Because the leaders and the people committed sin there. 여호와의 영광이 이스라엘을 떠났기에 성전이 파괴되고, 이스라엘이 포로로 잡혀가고, 나라가 망하게 된 것이다. Because the glory of the LORD had departed from Israel, the temple was destroyed, Israel was taken into exile, and the nation fell.

예루살렘이 함락된 지 14년 후 하나님은 환상 중에 에스겔을 다시 예루살렘으로 데려 가신다. Fourteen years after the fall of Jerusalem, God took Ezekiel back to Jerusalem in a vision. 겔 40:1, “우리가 사로잡힌 지 스물다섯째 해, 성이 함락된 후 열넷째 해 첫째 달 열째 날에 곧 그 날에 여호와의 권능이 내게 임하여 나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가시되” Ezekiel 40:1, “In the twenty-fifth year of our exile,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on the tenth day of the month, in the fourteenth year after the city was struck down, on that very day, the hand of the Lord was upon me and He brought me there.” 이 때가 주전 573년이다. This was in 573 BCE. 유대인들에게 성전이 사라졌다는 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그들의 정체성이 사라졌다는 의미다. For the Jewish people, the disappearance of the Temple meant that their identity as God’s people had vanished. 유대인들에게 나라가 사라졌다는 건 그것을 허락하신 하나님의 약속이 사라진 것이었다. For the Jewish people, the loss of their nation meant that God’s covenant promises had been broken or withdrawn. 바벨론에서 포로로 살고 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절망 중에 하나님이 정말 자신들과 함께 하고 계신지 확신할 수 없었다. The Israelites living as captives in Babylon were in despair and uncertain if God was truly with them. 하나님은 이러한 상황에서 에스겔을 예루살렘으로 다시 데려 가신 것이다. In this situation, God took Ezekiel back to Jerusalem. 하나님은 그에게 새로운 성전의 환상을 보여주셨다. God showed him a vision of a new Temple. 그것은 단순한 건축 설계도가 아니었다. It was not a mere architectural blueprint. 그것은 무너진 백성과 무너진 신앙을 다시 일으키겠다는 하나님의 임재의 회복 선언이었다. It was a declaration of God’s presence restoring the broken people and their shattered faith. 에스겔은 환상 가운데 정확한 치수와 질서를 지닌 성전을 본다. Ezekiel saw a Temple in his vision with exact measurements and order. 그리고 떠나갔던 하나님의 영광이 돌아오는 것을 보게 된다. And he saw the glory of God, which had departed, returning. 겔 43:2-5, “이스라엘 하나님의 영광이 동쪽에서부터 오는데… 여호와의 영광이 동문을 통하여 성전으로 들어가고…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에 가득하더라” Ezekiel 43:2-5, “The glory of the God of Israel came from the east… the glory of the Lord entered through the eastern gate into the Temple… and the Temple was filled with the glory of the Lord.” 에스겔 10장에서 동쪽 문을 통해 떠나갔던 그 영광이 이제 동쪽 문을 통해 다시 돌아온 것이다. The glory that had departed through the eastern gate in Ezekiel 10 has now returned through the same eastern gate. 이에 에스겔은 엎드려 경배한다. At that moment, Ezekiel fell facedown in worship. “하나님이 돌아오신다는 것, 하나님이 다시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 포로로 살던 유대인들에게 이보다 더 큰 소망이 없다. “The fact that God is returning, that God is once again with us”—for the Jews living in captivity, there was no greater hope than this. 이후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성전 문에서 물이 흐르는 환상을 보여주신다. Then God showed Ezekiel a vision of water flowing from the Temple gate. 겔 47:1, “그가 나를 데리고 성전 문에 이르시니 성전의 앞면이 동쪽을 향하였는데 그 문지방 밑에서 물이 나와 동쪽으로 흐르다가 성전 오른쪽 제단 남쪽으로 흘러 내리더라” Ezekiel 47:1, “He brought me to the entrance of the Temple; the front of the Temple faced east, and water was flowing from under the threshold of the Temple toward the east, flowing down from the south side of the altar.” 여기서 물이 성전 문지방 아래에서 나온다고 했다. The water came from beneath the threshold of the Temple gate. 이 물은 성전, 곧 하나님의 임재의 자리에서 흘러나오는 것이다. This water flows from the temple, the very place of God’s presence. 겔 47:9, “이 강물이 이르는 곳마다 번성하는 모든 생물이 살고 또 고기가 심히 많으리니 이 물이 흘러 들어가므로 바닷물이 되살아나겠고 이 강이 이르는 각처에 모든 것이 살 것이며” Ezekiel 47:9, “Wherever the river flows, everything will live, and there will be very many fish, for this water flows there and makes the salt water fresh; wherever the river flows, all kinds of living creatures will abound.” 사해는 염도가 높아 생명체가 살 수 없는 바다다. The Dead Sea is highly salty and cannot sustain life. 그러나 에스겔은 성전에서 나온 물이 들어가자 죽은 바다가 살아날 것이라는 하나님의 선포를 듣는다. But Ezekiel heard God’s proclamation that the Dead Sea would come alive as the water from the Temple flows into it. 이처럼 하나님의 영광과 그분의 임재가 회복되는 곳에서 생명의 역사가 일어난다. Just as God’s glory and presence are restored, the work of life begins to take place. 어떠한 절망도, 어떠한 관계도, 어떠한 심령도 하나님의 임재가 임하면 다시 살아나는 것이다. No matter the despair, the broken relationship, or the wounded heart, whenever God’s presence comes, life is restored again. 우리 삶의 진정한 회복은 하나님 임재의 자리에서 시작된다. True restoration in our lives begins in the place of God’s presence. 내가 기도하며 하나님께 부르짖는 자리, 내가 찬양하며 하나님 한 분을 예배하는 자리, 내가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말씀을 읽는 자리, 거기서 회복의 역사가 시작되는 것이다. The place where I pray and cry out to God, where I worship Him alone with praise, where I seek His will and read His Word—that is where the work of restoration begins.

예수님은 요한복음에서 이렇게 선포하셨다. Jesus declared this in John. 요 7:37-39,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오리라 하시니 이는 그를 믿는 자들이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John 7:37-39, “If anyone is thirsty, let him come to me and drink. Whoever believes in me, as the Scripture has said, streams of living water will flow from within him,” referring to the Spirit that believers would receive. 예수님 자신이 참 성전이며, 성전에서 흘러나오는 생수의 강을 마시는 것, 즉 성령을 받아야 인생의 목마름이 해결된다고 선포하신 것이다. Jesus Himself declared that He is the true temple, and that drinking from the river of living water flowing from the temple—that is, receiving the Holy Spirit—is what quenches the thirst of life. 예수를 구원자로 믿고 그 분을 구할 때 우리의 삶에 성령의 임재가 강물처럼 흘러 들어오는 것이다. When we believe in Jesus as Savior and seek Him,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flows into our lives like a river. 그 임재가 우리의 영을 살게 하고, 생명력을 주는 것이다. That presence gives life to our spirit and grants vitality. 사도 요한은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요 6:63)고 말한다. Apostle John says, “It is the Spirit who gives life; the flesh profits nothing (John 6:63).” 따라서 육신의 배부름이 아니라 성령이 우리를 살리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not physical nourishment but the Holy Spirit that gives us life.

이후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회복된 이스라엘의 땅을 보여주신다. Then God showed Ezekiel the restored land of Israel. 여기선 12지파에게 동등하게 땅이 분배된다. Here, the land is distributed equally among the twelve tribes. 땅의 배치는 가로로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이스라엘 역사 속의 정복 전쟁이나 정치적 상황과는 무관하게 이상적으로 재구성된다. The land is arranged horizontally in parallel, ideally reorganized without regard to the conquest wars or political situations in Israel’s history. 그리고 이스라엘 한가운데에는 거룩하게 구별할 땅을 두고 그 중앙에 성전의 성소가 자리하게 하였다. And in the very center of Israel, a holy, set-apart land was placed, with the sanctuary of the temple situated at its center. 이것은 회복될 이스라엘이 하나님 임재를 중심으로 재편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This signifies that the restored Israel will be reorganized with God’s presence at its center. 이스라엘 백성이 멸망하며 바벨론의 포로로 끌려간 이유는 그들이 마음과 삶의 중심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지워버렸기 때문이었다. The reason Israel was destroyed and taken captive to Babylon was that they erased God’s presence from the center of their hearts and lives. 모든 것을 주신 분이 하나님이셨지만, 하나님 밖에서 만족을 찾으려 우상을 숭배한 까닭이었다. Although God was the giver of all, they sought satisfaction outside Him and worshiped idols. 그러기에 이제 회복될 새 땅에서는 다시금 그런 죄악을 범하지 않도록 가장 중심부의 땅에 성소를 세우게 하신 것이다. Therefore, in the restored new land, God placed the sanctuary at the very center so that such sins would not be repeated. 또한 새로운 예루살렘에는 총 12개의 문이 있게 되는데, 거기에는 각각 이스라엘 12지파의 이름이 적혀 있다. Moreover, the new Jerusalem will have twelve gates, each inscribed with the name of one of the twelve tribes of Israel. 그리고 에스겔서의 마지막 구절, 가장 감동적인 선언이 등장한다. And the final, most moving declaration of Ezekiel appears. 겔 48:35, “그 날 후로는 그 성읍의 이름을 ‘여호와 삼마’(יְהוָה שָׁמָּה)’라 하리라” Ezekiel 48:35, “From that day forward, the city will be called ‘The Lord is There’ (YHWH Shammah).” 여호와 삼마는 “여호와께서 거기 계시다”란 뜻이다. YHWH Shammah means “The Lord is There.” 이름은 존재를 드러낸다. A name reveals one’s identity. 성읍의 이름이 바뀌었다. The name of the city has changed. 이제 그 도시는 “하나님이 거기 계신 곳”이다. Now the city is “the place where God is present.” 이 이름이 우리 교회의 이름이 되기를 바란다. I hope this name becomes the name of our church. 우리 가정의 이름이 되기를 바란다. I hope it becomes the name of our family. 내 인생 위에 새겨진 이름이 되기를 바란다. I hope it becomes the name engraved upon my life. 세상이 바뀌어도, 상황이 흔들려도 하나님이 여기에 계시면, 우리는 괜찮은 것이다. Even if the world changes, even if circumstances shake, as long as God is here with us, we are okay. 외형적으로 의지하는 모든 것이 무너져 내려도 하나님이 거기 계심을 놓치지 않을 때 우리의 삶은 회복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Even if everything we rely on externally collapses, when we do not lose sight that God is there, our lives move toward restoration. 한편 이 성읍의 열 두 문에는 12지파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welve gates of the city bear the names of the twelve tribes. 이것은 하나님의 백성 전체가 회복되고 하나된 연합 가운데 있게 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This signifies that all of God’s people are restored and united. 이 성의 이름이 “여호와 삼마”라는 것은 하나님의 임재가 회복되어 하나님이 영원히 그들과 함께 하심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city’s name “YHWH Shammah” means God’s presence is restored and that God will dwell with them forever. 이는 에스겔서 10장에서 하나님의 영광이 성전을 떠난 이후, 그 영광이 다시 돌아온 사건의 완전한 종결이라 할 수 있다. This completes the story that began in Ezekiel 10, where God’s glory departed the Temple and now fully returns.

이처럼 에스겔서 48장은 40장부터 시작된 성전 환상의 마지막 부분으로, 이 모든 회복의 비전이 장차 도래할 하나님 나라, 새 예루살렘을 향해 열려 있음을 보여준다. Thus, Ezekiel 48 is the final part of the Temple vision beginning in chapter 40, showing that this whole vision of restoration opens toward the coming Kingdom of God, the new Jerusalem. 요한계시록 21–22장에서는 새 예루살렘, 12문, 하나님의 임재, 생명수, 생명나무 등 에스겔서 후반부의 이미지가 반복되고 있다. Revelation chapters 21–22 repeat the images from Ezekiel’s later chapters: the new Jerusalem, twelve gates, God’s presence, the river of life, and the tree of life. 따라서 에스겔의 성전 환상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 성취가 시작되었으며, 세상 마지막 때에 그 완전한 성취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Ezekiel’s temple vision began its fulfillment in Jesus Christ and will reach its complete fulfillment at the end of the age. 그 때 요한계시록 21장 3절 말씀처럼 하나님의 장막이 사람들과 함께 있어 하나님이 그들과 영원히 함께 거하시는 ‘여호와 삼마’의 비전이 완성되는 것이다. Then, as Revelation 21:3 says, God’s dwelling will be with people, and the vision of “YHWH Shammah,” that God dwells with them forever, will be realized. 이렇게 에스겔서는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을 떠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그 영광이 다시 돌아와 “여호와께서 거기 계시다”로 끝나는 이야기다. Thus, Ezekiel’s story begins with the departure of the glory of the Lord from the Temple and ends with the return of that glory and the declaration, “The Lord is there.” 그러므로 ‘영광’ 과 ‘임재’는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다. Therefore, “glory” and “presence” cannot be separated. 여호와의 영광이 있는 곳에 하나님의 임재가 있으며,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곳에 여호와의 영광이 거기에 임한다. Where the glory of the LORD is, there is the presence of God; and where the presence of God dwells, the glory of the LORD rests there. 여호와의 영광이 머무는 인생은 망하지 않는다. A life where the glory of the LORD dwells will not perish. 여호와의 영광이 있는 사람에게는 영적인 권위와 권세가 있다. A person in whom the glory of the LORD dwells carries spiritual authority and power. 그러나 여호와의 영광이 떠나면 하락의 길을 걷게 되는 것이다. But when the glory of the Lord departs, decline follows. 하나님의 백성에게 여호와의 영광과 임재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다. For God’s people, the glory and presence of the LORD are invaluable and cannot be exchanged for anything else.

에스겔의 이야기는 단지 과거의 사건이 아니다. Ezekiel’s story is not just about past events. “나의 예배와 나의 삶 안에, 하나님이 영광과 임재가 있는가”란 질문은 오늘도 유효하다. The question “Is God’s glory and presence in my worship and my life?” remains relevant today. “내가 살아가는 지금 이곳이 하나님이 계시는 ‘여호와 삼마’의 공간인가? 나의 삶에 그분의 임재로부터 나오는 생명의 강이 흐르고 있는가?” 우리는 스스로 질문해야 한다. “Is this place where I live right now a ‘YHWH Shammah’ space where God dwells? Is the river of life flowing from His presence in my life?” We must ask ourselves. 여호와 삼마, 하나님이 함께 계셔서 우리와 함께 하시는 성읍, 그것이 진짜 회복된 삶의 모습이다. YHWH Shammah—the city where God is with us—is the true image of a restored life. 이 이름은 세상 끝에 이루어질 새 예루살렘의 예고편이지만, 동시에 오늘 성령이 거하시는 교회와 성도에게 이미 이루어진 진리이다. This name is a preview of the new Jerusalem that will come at the end of the age, yet it is also a present truth already realized in the church and believers indwelt by the Holy Spirit. 이 생명의 강이 예수님으로부터, 그리고 그분의 몸 된 교회로부터 흘러 나가야 한다. The river of life must flow from Jesus and His body, the church. 그 강이 오늘 우리를 통해 텔아비브와 이스라엘, 열방으로 흘러가야 한다. That river must flow through us today to Tel Aviv, Israel, and the nations. 마른 뼈도 살아나고, 죽은 바다도 살아나는 에스겔의 회복의 비전이 우리의 삶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May Ezekiel’s vision of restoration, where dry bones live again and the dead sea is revived, be fulfilled through our lives, in Jesus’ name.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