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het 14: 오바댜 – 에돔의 길

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2025년 8월 16일 설교 이익환 목사

Prophet 14: 오바댜 Obadiah – 에돔의 길 The Way of Edom

오바댜의 묵시라 주 여호와께서 에돔에 대하여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우리가 여호와께로 말미암아 소식을 들었나니 곧 사자가 나라들 가운데에 보내심을 받고 이르기를 너희는 일어날지어다 우리가 일어나서 그와 싸우자 하는 것이니라” (옵 1:1) The vision of Obadiah. This is what the Sovereign LORD says about Edom–We have heard a message from the LORD: An envoy was sent to the nations to say, “Rise, and let us go against her for battle” (Obadiah 1:1)

우리는 종종 “왜 나는 그 자리에 선택되지 않았을까?”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We often ask, “Why was I not chosen for that position?” 원하던 직장에서 떨어졌을 때, 중요한 사역에 부름받지 못했을 때, 관계에서 나만 제외되었을 때, 마음에 원망이 생길 수 있다. When we fail to get the job we wanted, when we are not called to an important ministry, or when we are excluded in relationships, resentment can arise in our hearts. 오늘 본문에 나오는 에돔은 하나님의 선택에서 제외된 민족이다. The Edomites in today’s passage were a people excluded from God’s choosing. 하나님은 야곱을 택하시고 에서를 택하지 않으셨다. God chose Jacob, but did not choose Esau. 하지만 선택에서 제외된 것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길이 막혔다는 뜻은 아니었다. But being excluded did not mean that the path to please God was closed. 그들은 나름대로 축복을 받았다. They were given blessings in their own way.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이 선택하신 자와 그 선택을 방해하는 길을 걸었다. Yet they chose a path opposing God’s chosen. 오늘 본문인 오바댜서는 선택되지 않은 자가 선택된 자를 대적했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경고이다. The book of Obadiah warns of the consequences when the unchosen oppose the chosen. 우리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메시지가 무엇인지 귀 기울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May this be a time to listen carefully to the message God is giving us.

옵 1:1-2, “오바댜의 묵시라 주 여호와께서 에돔에 대하여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우리가 여호와께로 말미암아 소식을 들었나니 곧 사자가 나라들 가운데에 보내심을 받고 이르기를 너희는 일어날지어다 우리가 일어나서 그와 싸우자 하는 것이니라 보라 내가 너를 나라들 가운데에 매우 작게 하였으므로 네가 크게 멸시를 받느니라” Obadiah 1:1-2, “ The vision of Obadiah. This is what the Sovereign LORD says about Edom–We have heard a message from the LORD: An envoy was sent to the nations to say, “Rise, and let us go against her for battle. Behold, I have made you small among the nations; you shall be greatly despised.” 하나님은 1절에서 천사들을 모아 “일어나 에돔과 싸우러 가자”라고 말씀하신다. In verse 1, God summons angels saying, “Arise, let us go against Edom for battle.” 그 결과 에돔은 보잘 것 없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As a result, Edom will become utterly insignificant. 에돔이 그렇게 되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개입하셨기 때문이다. The reason Edom meets this fate is because God intervened. 한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것은 결국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rise and fall of a nation ultimately rests in God’s hands. 한 개인이 흥하고 망하는 것도 하나님께 달려 있다. A single person’s rise and fall also depends on God. 하나님이 에돔에게 화가 난 이유는 무엇인가? Why was God angry with Edom? 그것은 에돔의 교만 때문이었다. It was because of Edom’s pride. 옵 1:3-4, “너의 마음의 교만이 너를 속였도다 바위 틈에 거주하며 높은 곳에 사는 자여 네가 마음에 이르기를 누가 능히 나를 땅에 끌어내리겠느냐 하니 네가 독수리처럼 높이 오르며 별 사이에 깃들일지라도 내가 거기에서 너를 끌어내리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Obadiah 1:3-4, “ The pride of your heart has deceived you, you who live in the clefts of the rocks and make your home on the heights, you who say to yourself, ‘Who can bring me down to the ground?’ Though you soar like the eagle and make your nest among the stars, from there I will bring you down,” declares the LORD.” 여기서 바위는 히브리어로 ‘셀라(Sela, סֶלַע)’인데, 셀라는 에돔의 요새 도시였다. Here, “rock” in Hebrew is Sela (סֶלַע), a fortress city in Edom. 셀라는 후에 나바테아 왕국의 수도로 발전하며 오늘날 요르단의 세계문화유산인 페트라가 되었다. Sela later became the capital of the Nabatean kingdom and is today Petra,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Jordan. 페트라 역시 헬라어로 “바위”라는 뜻이다. Petra also means “rock” in Greek. 당시 속담에 셀라는 열두 명만 지켜도 어떤 군대의 침략을 막아낼 수 있다고 할 정도로 난공불락의 요새였다. At that time, Sela was said to be so strong that just twelve men could defend it against any army. 하지만 이것이 에돔이 교만해진 원인이었다. Yet this led to Edom’s pride. 에돔은 지리적 안전과 군사력을 믿고 하나님의 심판의 메시지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Edom trusted in its geographic security and military strength and did not fear God’s message of judgment.

에돔이 왜 그리 삐딱하게 살았을까? Why did Edom live in such a crooked way? 그것은 선택 받지 못한 자의 슬픔 때문이다. It was the sorrow of being unchosen. 에돔은 에서의 후예다. Edom are descendants of Esau. 에서와 야곱은 쌍둥이로 태어났지만, 운명은 달랐다. Esau and Jacob were twins, yet their destinies were different. 그 운명의 결정은 그들이 태어나기 전에 이미 내려졌다. This destiny was decided before they were born. 하나님은 리브가가 임신했을 때 이렇게 말씀하셨다. When Rebekah was pregnant, God spoke to her like this: 창 25:23, “두 국민이 네 태중에 있구나 두 민족이 네 복중에서부터 나누이리라 이 족속이 저 족속보다 강하겠고 큰 자가 어린 자를 섬기리라” Genesis 25:23, “Two nations are in your womb, and two peoples from within you will be separated; one people will be stronger than the other, and the older will serve the younger.” 하나님은 야곱을 선택하셨다. God chose Jacob. 선택은 행위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뜻에 근거했다. The choice was based not on actions or ability but entirely on God’s will. 바울은 로마서 9장에서 이를 이렇게 해석한다. Paul interprets this in Romans 9: “그 자식들이 아직 나지도 아니하고 무슨 선이나 악을 행하지 아니한 때에…
행위로 말미암지 않고 오직 부르시는 이로 말미암아…
야곱은 사랑하고 에서는 미워하였다.” “Tough the children were not yet born and had done nothing good or evil… not by works but by the one who calls… Jacob was loved, but Esau was hated.” 여기서 ‘사랑’과 ‘미움’은 언약적 선택을 의미한다. Here, “loved” and “hated” refer to covenantal choice. 하나님은 야곱을 통해 언약을 이루시기로 작정하셨다. God intended to fulfill the covenant through Jacob. 하나님은 야곱을 상속자로 선택했지만, 에서도 복을 받았다. God chose Jacob as heir, yet Esau also received blessings. 그는 세일 산지에 터전을 잡고 강한 민족이 되었다. He settled in the hill country of Seir and became a strong nation.

선택 받지 못한 에돔이 할 수 있었던 최선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형제 야곱과 평화롭게 지내며 언약 백성을 축복하는 것이었다. What was the best that the unchosen Edom could have done? It was to live peacefully with their brother Jacob and bless God’s covenant people. 그것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행위다. This would have been an act of acknowledging God’s sovereignty. 그러나 그들은 선택 받지 못한 서운함과 질투로 언약 백성을 대적하는 길을 택했다. However, they chose the path of opposing the covenant people out of disappointment and jealousy. 역사 속에서 에돔은 형제 이스라엘을 거듭 대적했다. Historically, Edom repeatedly opposed their brother Israel. 출애굽 후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으로 가기 위해 에돔의 왕의 대로를 지나가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었다. After the Exodus, the fastest route for Israel to the Promised Land was through the king’s highway of Edom. 그래서 모세는 에돔 왕에게 아무 피해도 끼치지 않고 돈도 다 지불하겠으니 조용히 통과만 시켜달라고 요청했다. So Moses asked the king of Edom to let them pass peacefully, offering payment for any damages. 그러나 에돔 왕은 군사와 칼로 너희를 막겠다고 거절했다. But the king of Edom refused, saying he would block them with his army and sword. 에돔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오바댜서 1장 10-14절에 나온다. The decisive reason Edom received God’s judgment is described in Obadiah 1:10-14. 옵 1:12, “네가 형제의 날 곧 그 재앙의 날에 방관할 것이 아니며 유다 자손이 패망하는 날에 기뻐할 것이 아니며 그 고난의 날에 네가 입을 크게 벌릴 것이 아니며” Obadiah 1:12, “You should not look down on your brother in the day of his misfortune, nor rejoice over the people of Judah in the day of their destruction, nor boast so much in the day of their trouble.” 에돔은 유다가 바벨론에게 공격받던 날, 예루살렘이 무너지는 것을 보고 기뻐했다. Edom rejoiced when Judah was attacked by Babylon and Jerusalem fell. 그들은 심지어 도망가는 유다 사람들을 잡아 원수의 손에 넘겼다. They even captured fleeing Judeans and handed them over to their enemies. 시편 기자도 그 사실을 기록했다. The psalmist also recorded this fact. 시 137:7, “여호와여 예루살렘이 멸망하던 날을 기억하시고 에돔 자손을 치소서 그들의 말이 헐어 버리라 헐어 버리라 그 기초까지 헐어 버리라 하였나이다” Psalm 137:7, “Remember, O LORD, what the Edomites did on the day Jerusalem fell. “Tear it down,” they cried, “tear it down to its foundations!”” 에돔이 갔던 길은 하나님의 구속사를 방해한 길이었다. The path that Edom took was a path that hindered God’s redemptive plan.그리고 하나님이 선택한 자를 조롱하고 저주한 것이었다. They mocked and cursed those God had chosen. 그들은 자신의 행위에 따른 결과를 가볍게 여겼다. They took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lightly. 어떠한 결과가 따랐을까? What was the consequence?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선택하셨을 때 이런 약속을 하셨다. When God chose Abraham, He made this promise. 창 12:3,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Genesis 12:3, “I will bless those who bless you, and curse those who curse you.” 메칼레레카 아오르 (מְקַלֶּלְךָ אָאֹר) – “너를 저주하는 자를 내가 저주하리라.” Mekallereka aor – “I will curse those who curse you.” 하나님의 언약 백성을 해치는 자는 하나님이 직접 그를 저주하신다는 선언이다. This declares that God Himself will judge anyone who harms His covenant people. 이는 단순한 감정적 대응이 아니다. This is not merely an emotional reaction. 하나님의 언약 백성을 축복하면 복을 받고, 저주하면 저주를 받는 하나님의 변하지 않는 언약 법칙이다. Blessing God’s covenant people brings blessing, cursing them brings curse – This is God’s unchanging covenant principle. 따라서 에돔이 해야 할 최선은 선택된 자를 존중하는 것이었다. Therefore, Edom’s best choice would have been to respect the chosen. 그러나 에돔은 바벨론이 예루살렘을 침공할 때, 형제 이스라엘을 돕기는커녕 약탈에 동참하고 피난민을 넘겼다. But when Babylon attacked Jerusalem, Edom didn’t help their brother Israel; instead, they joined in the looting and handed over the refugees. 그들의 악행은 하나님의 언약을 거스른 것이었고, 그 결과 그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었다. Their evil acts went against God’s covenant, and as a result, they could not escape His judgment. 하나님께 선택되지 않은 자라도 하나님의 구속 역사를 인정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선택을 할 수 있었지만, 에돔은 최악의 선택을 한 것이다. Even the unchosen could have recognized God’s redemptive work and made choices to contribute to its fulfillment, but Edom made the worst choice.

바울은 하나님이 구원 역사를 이루기 위해 주권적으로 선택하신다고 말한다. Paul says that God sovereignly chooses to accomplish the work of salvation. 롬 9:11, “그 자식들이 아직 나지도 아니하고 무슨 선이나 악을 행하지 아니한 때에 택하심을 따라 되는 하나님의 뜻이 행위로 말미암지 않고 오직 부르시는 이로 말미암아 서게 하려 하사” Romans 9:11, “Yet, before the twins were born or had done anything good or bad–in order that God’s purpose in election might stand:” 그런데 성경을 보면 선택 받지 못한 자라고 해서 하나님께 쓰임 받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Yet the Bible shows that the unchosen are not excluded from God’s use. 그 예로 룻은 모압 여인이었다. For example, Ruth was a Moabite woman. 선택 받은 백성이 아니었다. She was not part of the chosen people. 그러나 그녀는 이스라엘 하나님을 알게 되었고, 그 하나님을 섬기기로 선택하였다. Yet she came to know the God of Israel and chose to serve Him. 결국 다윗의 조상이 되었다. Ultimately, she became an ancestor of David. 에돔도 믿음과 순종으로 여호와께 돌아왔다면, 비록 언약의 통로는 아니었어도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복을 누릴 수 있었을 것이다. If Edom had returned to the LORD in faith and obedience, they could have enjoyed blessings as God’s people, even if they were not the channel of the covenant. 따라서 선택되지 않은 자의 최선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그의 백성을 축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best course for the unchosen is to bless God’s people according to His will. 그 길이 창세기 12장 3절의 축복 안에 들어가는 길이다. This path aligns with the blessing promised in Genesis 12:3.

하나님의 구속사를 방해한 에돔이 맞이한 결과는 무엇이었을까? What was the outcome for Edom, who hindered God’s redemptive plan? 오바댜는 말한다. Obadiah says: 옵 1:15, 18, “여호와께서 만국을 벌할 날이 가까웠나니 네가 행한 대로 너도 받을 것인즉 네가 행한 것이 네 머리로 돌아갈 것이라… 야곱 족속은 불이 될 것이며 요셉 족속은 불꽃이 될 것이요 에서 족속은 지푸라기가 될 것이라 그들이 그들 위에 붙어서 그들을 불사를 것인즉 에서 족속에 남은 자가 없으리니” Obadiah 1:15, 18, “The day of the LORD is near for all nations. As you have done, it will be done to you; your deeds will return upon your own head… The house of Jacob will be a fire and the house of Joseph a flame; the house of Esau will be stubble, and they will set it on fire and consume it. There will be no survivors from the house of Esau.” 하나님의 심판은 렉스 탈리오니스(Lex Talionis), 보복법이었다. God’s judgment followed the Lex Talionis, the law of retribution. 즉 ‘같은 방법으로 갚는 것’이었다. That is, “they will be repaid in kind.” ‘길을 막은 자는 자기의 길이 막히게 될 것이다. 약탈한 자는 자신이 약탈 당하게 될 것이다. 형제를 배반한 자는 형제 없는 민족이 될 것이다’란 선언이다. Those who blocked the way would have their way blocked; those who plundered would be plundered; those who betrayed their brother would become a nation without brothers. 여기서 ‘네가 행한 것’이란 히브리어 ‘그물(גְּמֻל)’은 ‘행동에 대한 대가’를 뜻한다. The Hebrew word “geumul” (גְּמֻל) used here means “repayment for one’s actions.” 에돔이 형제 민족을 저주했기에, 하나님께서 창세기 12장 3절의 원리에 따라 그들에게 저주를 돌려보내신 것이다. Because Edom cursed their brother nation, God returned the curse to them according to the principle in Genesis 12:3. 창 12:3의 “너를 저주하는 자를 내가 저주하리라”와 오바댜 1:15의 “네가 행한 것이 네 머리로 돌아갈 것이라”는 구조적으로 같은 원리다. Genesis 12:3’s “I will curse those who curse you” and Obadiah 1:15’s “your deeds will return on your own head” reflect the same principle structurally. 주체는 하나님이시다. The subject is God. 조건은 언약 백성을 대적한 것이다. The condition is opposing God’s covenant people. 결과는 하나님의 직접적 심판이다. The consequence is God’s direct judgment. 에스겔 선지자도 에돔을 향해 예언했다. Ezekiel also prophesied against Edom. 겔 35:5,9, “네가 옛날부터 한을 품고 이스라엘 족속의 환난 때 곧 죄악의 마지막 때에 칼의 위력에 그들을 넘겼도다… 너를 영원히 황폐하게 하여 네 성읍들에 다시는 거주하는 자가 없게 하리니 내가 여호와인 줄을 너희가 알리라” Ezekiel 35:5, 9, “‘Because you harbored an ancient hostility and delivered the Israelites over to the sword at the time of their calamity, the time their punishment reached its climax…. I will make you desolate forever; your towns will not be inhabited. Then you will know that I am the LORD.” 이러한 예언들이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How were these prophecies fulfilled?

BC 6세기 후반 바벨론 제국은 에돔의 영토 일부를 점령한다. In the late 6th century BC, the Babylonian Empire occupied part of Edom’s territory. 그리하여 에돔인들은 남쪽 네게브와 유다 남부로 이주하여 이두메아 지역을 형성한다. Thus, the Edomites migrated to southern Negev and southern Judah, forming the region known as Idumea. 이것은 “산에서 끌어내림”의 시작이었다.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their being “brought down from the mountains.” BC 4세기 경에는 나바테아인들이 에돔의 원거주지인 세일 산과 페트라 지역을 점령한다. Around the 4th century BC, the Nabateans captured Edom’s original homeland of Mount Seir and Petra. “네가 거주하던 곳에서 쫓겨날 것”이란 예언이 성취된다. The prophecy of “you will be driven from your dwelling” was fulfilled. BC 2세기 유다 마카비 시대에 요한 힐카누스는 이두메아를 정복하고 그들을 유대교로 강제 개종시킨다. In the 2nd century BC, during the Hasmonean period, John Hyrcanus conquered Idumea and forcibly converted them to Judaism. 이로서 민족으로서의 에돔 족속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Thus, as a people, the Edomites disappeared from history. “에서 족속에 남은 자가 없을 것”이란 예언이 모두 이루어지게 된다. The prophecy that “no survivors will remain of the house of Esau” was completely fulfilled.

우리 인생에는 내가 선택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In our lives, there are things we cannot choose. 내가 어느 나라에서 태어날지, 어떤 부모 밑에서 자랄지, 어떤 시대에 살지 –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 아래 있다. Which country I am born in, which parents I grow up under, and which era I live in— all these are under God’s absolute sovereignty. 우리는 때로 에서처럼 어떤 자리에 선택되지 못한 자가 될 수도 있다. Sometimes, like Esau, we may find ourselves unchosen for a certain position. 내가 원하는 직책이 다른 사람에게 허락되고 나에게는 주어지지 않을 때가 있다. The position we desire may be given to someone else and not to us. 내가 꿈꾸던 길이 다른 사람에겐 열리고 나에겐 열리지 않을 때가 있다. The path we dream of may open for others but not for us. 이럴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What should we do in such times? 먼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순복해야 한다. First, we must acknowledge and submit to God’s sovereignty. 하나님의 주권은 불공평이 아니다. God’s sovereignty is not unfair. 우리가 “왜 저 사람은 선택하고, 나는 선택하지 않으셨습니까?”라고 묻는다면, 그것은 피조물이 창조주를 의심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If we ask, “Why was that person chosen and not me?” it is questioning and judging the Creator by a creature. 우리는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 주목해야 한다. We must focus on God’s redemptive work. 그리고 그 역사가 누구를 통해서건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해 섬겨야 한다. And we must serve faithfully so that the work is accomplished through whoever God chooses. 선택된 자를 시기하지 말고 섬기는 것이 겸손이다. Humility is not envying the chosen, but serving them.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며 맡겨진 자리에서 최선을 다할 때 나의 삶도 이 땅에서 하나님의 역사를 이루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When we recognize God’s sovereignty and do our best in the place He has given us, our lives become a channel through which God’s work is accomplished on earth. 바라기는 하나님의 구속사를 방해하는 에돔의 길이 아니라 그분의 구속사를 이어가는 야곱의 길을 걸어가는 우리 모두가 되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I pray in the name of Jesus that we may all walk not in Edom’s path, which hinders God’s redemptive plan, but in Jacob’s path, which carries it forward.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