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설교 이익환 목사
Prophet 15: 다니엘 1 포로기의 성도
“다니엘은 뜻을 정하여 왕의 음식과 그가 마시는 포도주로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리라 하고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도록 환관장에게 구하니 하나님이 다니엘로 하여금 환관장에게 은혜와 긍휼을 얻게 하신지라” (단 1:8-9) But Daniel resolved not to defile himself with the royal food and wine, and he asked the chief official for permission not to defile himself this way. Now God had caused the official to show favor and sympathy to Daniel,
1980년대, 90년대는 한국 교회 부흥기였다. The 1980s and 1990s were the revival period of the Korean church. 교회 다니는 것이 참 즐거웠다. It was truly joyful to go to church. 그래서 친구들에게 교회에 오라고 자주 권했던 기억이 있다. So I remember often inviting my friends to come to church. 그러나 50년이 지난 지금 한국 교회의 현실은 어떤가? But what is the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fifty years later? 사회는 급격히 세속화가 진행되었다. Society has undergone rapid secularization. 교회는 이전의 권위를 잃고 냉소적인 사회분위기 속에서 내가 그리스도인 임을 밝히며 살아가는 것이 쉽지 않다. The church has lost its former authority, and in a cynical social atmosphere, it is not easy to live openly as a Christian.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이스라엘 역시 엄청난 세속화가 이루어진 곳이고, 특히 교회에 대한 상처가 있는 나라다. Israel, where we live now, is also a place that has undergone tremendous secularization, and it is especially a country with wounds related to the church. 이런 나라에서 우리는 어떻게 신앙인으로 살아가야 할 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In such a country, we cannot help but wrestle with how to live as people of faith. 이스라엘 땅에서 교회는 소수이며, 신앙을 밝히는 것이 때로는 부담이 되고, 유대 사회 안에서는 오해를 받기 쉽다. In the land of Israel, the church is a minority, and confessing faith can sometimes be burdensome, and within Jewish society it is easy to be misunderstood. 바로 이런 상황이 오늘 우리의 바벨론이다. This situation is our Babylon today. 오늘 우리는 다니엘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Today we want to look into the book of Daniel. 다니엘은 어린 나이에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사람이다. Daniel was taken as a captive to Babylon at a young age. 그는 신앙을 지키기 힘든 바벨론에서 포로기를 살았던 사람이다. He lived through the exile in Babylon, where it was very difficult to keep one’s faith. 그가 적대적인 사회에서 어떻게 신앙인으로 살아갔는지 살펴보며 우리 역시 신앙인으로서 오늘을 사는 지혜를 얻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As we study how he lived as a believer in a hostile society, may we also gain wisdom for living today as people of faith.
단 1:1-2, “유다 왕 여호야김이 다스린 지 삼 년이 되는 해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성을 에워쌌더니 주께서 유다 왕 여호야김과 하나님의 전 그릇 얼마를 그의 손에 넘기시매 그가 그것을 가지고 시날 땅 자기 신들의 신전에 가져다가 그 신들의 보물 창고에 두었더라” Daniel 1:1-2, “In the third year of the reign of Jehoiakim king of Judah,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came to Jerusalem and besieged it. And the Lord delivered Jehoiakim king of Judah into his hand, along with some of the articles from the temple of God. These he carried off to the temple of his god in Babylonia and put in the treasure house of his god.” 때는 남 유다 왕 여호야김 재위 3년이다. 기원전 605년의 일이다. This was the third year of King Jehoiakim of Judah, in 605 BC. 이 때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은 예루살렘을 공격하고 성전의 기물을 가져간다. At that time, King Nebuchadnezzar of Babylon attacked Jerusalem and took away the vessels of the temple. 예루살렘 성과 성전이 강탈 당했다는 것은 유대 민족에겐 치욕스러운 일이었다. The fact that the city and the temple of Jerusalem were plundered was a deep humiliation for the people of Judah. 그런데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다니엘서가 그것을 ‘주께서 넘기셨다’고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But what we must note is that Daniel records this as, “The Lord delivered them.” 바벨론 왕에게 빼앗긴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허락하신 것이란 사실이다. It was not simply seized by the Babylonian king, but allowed by God Himself. 이것은 사람의 눈에는 비극적인 역사적 상황이지만 여전히 역사의 주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In human eyes it looked like a tragic historical event, but it shows that the sovereignty of history still belongs to God. 지금 교회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 현실속에서도 여전히 역사의 주관자는 하나님 이심을 우리는 주목 해야 한다. Even in the present hardships of the church, we must remember that God is still the Lord of history. 사실 세속화는 우리 나라만 겪는 현상이 아니다. In fact, secularization is not something only our nation is experiencing. 유럽은 AD 313년 기독교가 로마의 국교로 인정되면서 크리스텐덤이라고 불리는 기독교 사회를 형성한다. In AD 313, Christianity was recognized as the state religion of Rome, and Europe formed what is called Christendom. 크리스텐덤은 모든 사회와 문화가 기독교의 영향 아래 있는 국가를 말한다. Christendom refers to a society in which all culture and life are under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그러나 17,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이 크리스텐덤의 기반이 무너진다. But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foundation of Christendom collapsed. 그리고 20세기 들어서 국가의 부가 증대하면서 유럽은 급격히 세속화의 물결에 휩쓸린다. In the 20th century, as nations grew in wealth, Europe was swept away by the rapid tide of secularization. 그 결과 기독교는 국가와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나게 되었다. As a result, Christianity was pushed to the margins of state and society. 신학자들은 서구 교회가 이제는 새로운 바벨론 유배기를 맞이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Theologians assessed that the Western church had now entered a new Babylonian exile. 기독교 신앙을 지지했던 국가의 후원은 더이상 없다. The state support that once upheld the Christian faith is no longer there. 교회는 그동안 누렸던 특권적 지위를 더이상 누릴 수 없게 되었다. The church can no longer enjoy the privileged position it once had. 결과적으로 유럽의 많은 교회가 문을 닫았다. As a result, many churches in Europe have closed their doors. 반면 세상은 상대주의와, 허무주의, 세속주의의 가치로 가득하게 되었다. Meanwhile, the world has become filled with values of relativism, nihilism, and secularism. 이것은 분명 교회의 위기이다. This is clearly a crisis for the church. 그러나 우리는 세상의 세속화를 탓하지 전에 하나님께서 왜 이러한 현상을 허락하셨는지 질문해야 한다. But before we blame the world’s secularization, we must ask why God has allowed this to happen. 바벨론의 유배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은 남은 자를 허락하셨다. Even in the Babylonian exile, God allowed a remnant to remain. 다니엘과 세 친구는 유배된 상황 속에서도 신앙인으로 살기 위해 몸부림쳤다. Daniel and his three friends strove to live as believers even in the midst of exile. 기독교를 인정하고 환영하는 크리스텐덤 시대에는 신앙의 옥석을 가릴 수가 없다. In the Christendom era, when Christianity was acknowledged and welcomed, it was difficult to discern the true from the false in faith. 오히려 교회 다니는 것은 특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였다. Rather, going to church was an opportunity to exercise privilege. 그러나 바벨론이라는 유배지는 신앙의 진검 승부를 가릴 수 있는 곳이다. But the exile in Babylon was a place where the true battle of faith was tested. 시대는 포로기였지만 장차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 사람들을 키워내는 시대인 것이다. It was a time of captivity, yet also a time when God was raising those who would lead the new era of His kingdom. 그래서 우리는 포로기라는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이 주도하시는 일에 주목 해야만 하는 것이다. Therefore, even in the tragic situation of exile, we must pay attention to what God is doing and leading.
단 1:3-4, “왕이 환관장 아스부나스에게 말하여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왕족과 귀족 몇 사람 곧 흠이 없고 용모가 아름다우며 모든 지혜를 통찰하며 지식에 통달하며 학문에 익숙하여 왕궁에 설 만한 소년을 데려오게 하였고 그들에게 갈대아 사람의 학문과 언어를 가르치게 하였고” Daniel 1:3-4, “Then the king ordered Ashpenaz, chief of his court officials, to bring into the king’s service some of the Israelites from the royal family and the nobility—young men without any physical defect, handsome, showing aptitude for every kind of learning, well informed, quick to understand, and qualified to serve in the king’s palace. He was to teach them the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Babylonians.” 다니엘은 그의 나이 16살에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다. Daniel was taken into exile at the age of sixteen. 그는 이미 유대 사회에서도 엘리트였다. He was already considered an elite in Judean society. 그러기에 특별히 바벨론의 엘리트 교육을 통해 바벨론 제국을 위해 일할 인재로 만들어지기 위해 끌려 간 것이다. For that reason, he was taken in order to be molded through Babylon’s elite education into a servant of the empire. 당시 바벨론은 점성술과 영매술, 꿈 해석학 등이 발달했다. At that time, Babylon was advanced in astrology, divination, and dream interpretation. 이러한 학문은 당시 바벨론 제국의 경영을 위해 중요하게 여겨지던 학문들이었다. These disciplines were regarded as essential for running the empire. 바벨론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문과 언어를 가르쳤을 뿐 아니라 그들에게 왕의 음식과 왕이 마시는 포도주를 주며 삼 년 간 공을 들였다. To train these young men, Babylon not only taught them its language and literature but also provided them with the king’s food and wine for three years. 이 화려한 식탁을 소년들에게 제공한 이유가 뭘까? Why did they set such a splendid table for these youths? 그것은 바벨론의 진미를 먹고 마시며 바벨론을 위해 살라는 초대였다. It was an invitation to eat and drink Babylon’s delicacies and live for Babylon. 바벨론 제국은 이들이 바벨론의 정체성을 가지고 살도록 이름까지 고친다. To further shape their identity, the empire even changed their names.
단 1:7, “환관장이 그들의 이름을 고쳐 다니엘은 벨드사살이라 하고 하나냐는 사드락이라 하고 미사엘은 메삭이라 하고 아사랴는 아벳느고라 하였더라” Daniel 1:7, “The chief official gave them new names: to Daniel, the name Belteshazzar; to Hananiah, Shadrach; to Mishael, Meshach; and to Azariah, Abednego.” 다니엘은 ‘하나님은 나의 심판자’라는 뜻이다. Daniel means “God is my judge.” 그런데 벨드사살은 ‘그대의 보호자는 벨이다’란 뜻이다. However, Belteshazzar means “Bel is your protector.” 벨은 바벨론의 주신 마르둑을 가르키는 말이다. Bel was another name for Marduk, the chief deity of Babylon. 하나냐는 ‘하나님은 자비로우시다’란 뜻이다. Hananiah means “The Lord is gracious.” 그런데 사드락은 수메르 달의 신인 ‘아쿠의 명령’이란 뜻이다. But Shadrach means “Command of Aku,” the Sumerian moon god. 미사엘은 ‘누가 하나님과 같은가’란 뜻이다. Mishael means “Who is like God?” 그런데 메삭은 ‘아쿠 같은 이가 누구랴’란 뜻이다. But Meshach means “Who is like Aku?” 아사랴는 ‘하나님께서 도우셨다’란 뜻이다. Azariah means “The Lord has helped.” 그런데 아벳느고는 ‘느고의 종’이란 뜻이다. But Abednego means “Servant of Nego.” 이름을 왜 바꾸는가? Why were their names changed? 그것은 그들이 이전의 정체성을 버리고 새로운 정체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다. This is so that they abandon their previous identity and take on a new one. 세상은 끊임없이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는 정체성을 버리고 비그리스도인으로 살도록 부추긴다. The world constantly pushes us to abandon our Christian identity and live as if we were not believers. 그러나 다니엘은 바벨론 사람들이 자기를 벨드사살이라 불러도 자신은 스스로 ‘나 다니엘이~’(단 7:15)라고 칭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Yet, even though the Babylonians called him Belteshazzar, Daniel referred to himself as “I, Daniel” (Daniel 7:15). 그는 ‘하나님은 나의 심판자’라는 자기 이름의 정체성을 놓치 않은 것이다. He did not lose the identity of his name: “God is my judge.” 그는 사람의 눈보다 하나님의 눈을 의식하며 살았음을 알 수 있다. He lived conscious not of man’s eyes, but of God’s.

단 1:8, “다니엘은 뜻을 정하여 왕의 음식과 그가 마시는 포도주로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리라 하고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도록 환관장에게 구하니” Daniel 1:8, “But Daniel resolved not to defile himself with the royal food and wine, and he asked the chief official for permission not to defile himself this way.” 다니엘은 왕이 주는 음식을 먹지 않기로 작정한다. Daniel decided not to eat the king’s food. 여기서 “뜻을 정했다”는 말은 히브리어로 “야셈 알 립보(ישם על לבו)”인데, 이는 ‘마음을 정하다’란 뜻이다. The phrase “resolved” in Hebrew is “yasem al libbo (ישם על לבו),” meaning “he set his heart.” 그런데 바로 앞의 7절의 문장도 ‘야셈’으로 시작한다. Interestingly, the previous verse (v.7) also begins with “yasem.” ‘야셈’의 기본 어근은 ‘숨(שום)’이다. ‘놓다. 두다’란 뜻이다. The root of “yasem” is “sum (שום),” meaning “to place” or “to set.” 그런데 7절에서는 환관장이 다니엘의 이름을 고쳤다고 했는데, 여기서 ‘숨’은 “바꾸다”란 뜻으로 쓰였다. In verse 7, it was used when the chief official “changed” their names. 이름을 고치며 자신의 정체성을 바꾸려는 환관장의 시도와 그런 상황 속에서 마음을 정하는 다니엘의 모습이 대비가 된다. Thus, we see a contrast: while the official sought to change Daniel’s identity, Daniel set his heart firmly before God.

왕의 음식에는 레위기에서 금지하는 육식이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The king’s food likely included meats prohibited in Leviticus. 다니엘이 왕의 음식을 거부하자 환관장은 ‘너희 때문에 내 머리가 왕 앞에서 위태롭게 되리라’고 대답했다. When Daniel refused the king’s food, the chief official responded, “I am afraid that my head will be at risk before the king because of you.” 이처럼 왕의 음식을 거절한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을 감수한 일이었다. Refusing the king’s food was therefore very risky. 그러나 다니엘에게 중요한 것은 ‘어떤 게 덜 위험하고 손해를 안 보는 일인가’가 아니었다. But for Daniel, the important question was not, “What is safer or less costly?” 그에게 중요한 것은 나의 심판자, 하나님 한 분 앞에서 살아가는 삶을 선택하는 것이었다. His concern was choosing to live before the one Judge, God Himself. 왕의 음식을 거절한 것은 단순히 음식 문제가 아니라, ‘누구 앞에서 사느냐’의 문제였던 것이다. His refusal was not just about food but about identity—who he acknowledged as Lord. 당시 열여섯 살 소년 다니엘은 어떻게 이런 결단이 가능했을까? How was such a decision possible for a sixteen-year-old boy? 그것은 그가 어려서부터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신앙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It was because from a young age, he had been raised with faith education as part of God’s people. 그는 비록 포로로 끌려갔지만 바벨론 제국의 유혹에 맞서 하나님 한 분을 경외하는 신앙인으로 자라난 것이다. Though he was taken into exile, he grew to be a man who revered God alone, resisting the temptations of Babylon.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바벨론 제국과 같다. The world we live in is like the Babylonian Empire. 이 세상 사람들은 힘을 숭배하고 권력을 숭배한다. People in this world worship strength and power. 세상은 바벨론의 진미를 제공하며 바벨론에 충성할 인재들을 양성하고 있다. The world provides the delicacies of Babylon and cultivates people loyal to Babylon. 바벨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그것이 사람들의 우선순위가 된다. What Babylon values becomes the priority for people. 너도나도 바벨론의 패러다임에 길들여지고 바벨론이 짜놓은 판에서 최고가 되려 한다. Everyone becomes accustomed to Babylon’s paradigm and strives to be the best within the framework set by Babylon. 이 시대는 바벨론의 가치가 교회 안에도 들어와 하나님 나라의 가치와 충돌하는 시대이다. In this age, Babylon’s values have entered the church and clash with the values of God’s kingdom. 그러한 바벨론을 경멸하고 도망치라는 말이 아니다. This does not mean we should despise Babylon and run away. 여전히 바벨론에서 살아가지만 그 속에서 하나님 앞에 뜻을 정하는 한 사람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It means that even while still living in Babylon, what matters is one person who sets their heart before God. 내가 손해 보고, 내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하나님을 뜻을 지켜내겠다고 각오하는 한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We need someone who is determined to uphold God’s will, even if it means taking losses and facing risks. 하나님은 그러한 사람을 주목하시고 그런 사람을 통해 바벨 문화 속에서도 하나님 나라를 진행하신다. God takes notice of such a person, and through them, He advances His kingdom even within the culture of Babylon.
단 1:9, “하나님이 다니엘로 하여금 환관장에게 은혜와 긍휼을 얻게 하신지라” Daniel 1:9, “Now God had brought Daniel into favor and tender love with the chief of the eunuchs.” 하나님은 힘을 가진 사람을 통해서 일하시는 것이 아니라 뜻을 정한 사람을 통해 일하심을 알 수 있다. We can see that God works not through those in power, but through those who have set their hearts. 위험을 감수하고 믿음의 선택을 한 다니엘에게 하나님은 보상하신다. God rewarded Daniel, who took a risk and made a faithful choice. 환관장에게 은혜와 긍휼을 얻게 하신다. He granted him favor and compassion with the chief official. 그리고 다른 소년들보다 얼굴이 더 아름답고 윤택해지게 하신다. And He made his appearance more pleasant and well-nourished than the other youths.
단 1:17, “하나님이 이 네 소년에게 학문을 주시고 모든 서적을 깨닫게 하시고 지혜를 주셨으니 다니엘은 또 모든 환상과 꿈을 깨달아 알더라” Daniel 1:17, “As for these four youths, God gave them learning and skill in all literature and wisdom, and Daniel had understanding in all visions and dreams.” 하나님은 뜻을 정한 네 소년에게 지혜를 주셨을 뿐 아니라 특히 다니엘에게는 환상과 꿈을 깨달아 알게 하셨다. God gave wisdom to the four youths who set their hearts, and in particular, He gave Daniel the ability to understand visions and dreams. 여기서 반복되는 것은 ‘나탄(נתן)’이란 동사다. Here, the repeated verb is natan (נתן), “gave.” “하나님이 주셨다”란 표현이 1장에서 여러 번 반복되고 있다. The phrase “God gave” is repeated several times in chapter 1. 2절에서 “하나님이 여호야김을 느부갓네살에게 넘기셨다”고 했는데, ‘넘기셨다’란 표현에 ‘나탄’이란 동사가 쓰였다. In verse 2, it says, “God delivered Jehoiakim into Nebuchadnezzar’s hand,” using the verb natan. 하나님의 허락 하에 그 일이 이루어진 것이다. It indicates that the events occurred under God’s allowance. 9절에는 “하나님이 다니엘로 하여금 환관장에게 은혜와 긍휼을 얻게 하셨다”고 했는데, ‘얻게 하셨다라’는 표현에 ‘나탄’이란 동사가 쓰였다. In verse 9 it says, “God gave Daniel favor and compassion in the sight of the chief official,” and the verb used for “gave” is natan (נתן). 다니엘이 긍휼을 얻은 것은 그가 잘나서가 아니라 하나님이 그렇게 해 주신 것이다. Daniel obtained compassion not because of his own ability, but because God granted it. 이처럼 ”하나님이 주셨다“란 표현은 포로기의 진짜 주인공은 바벨론 왕이 아니라 하나님이란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The repeated phrase “God gave” shows that the main actor behind everything of the exile is not the Babylonian king, but God. 하나님은 자신을 위해 뜻을 정한 다니엘에게 아낌없이 베풀어주신 분이셨다. God generously blessed Daniel, who had set his heart before Him. 물론 다니엘은 축복 받기 위해 뜻을 정한 것이 아니다. 그는 하나님을 경외하기에 위험을 무릅쓰고 뜻을 정한 것 뿐이다. Of course, Daniel did not set his heart to receive blessings; he did so because he feared God and risked himself to remain faithful. 결국 다니엘은 느부갓네살 왕 앞에 서게 된다. In the end, Daniel stood before King Nebuchadnezzar. 바벨론에 살지만 바벨론의 종교와 문화로 자신을 더럽히지 않기로 뜻을 정한 그가 오히려 바벨론 왕 앞에 가장 먼저 서는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Though he lived in Babylon, having resolved not to defile himself with Babylonian religion and culture, h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stand first before the Babylonian king.
지금 교회는 수난을 당하고 있다. The church today is suffering.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 수난기를 통해 어떠한 시대를 준비하고 계시는지 모른다. Yet God may be preparing an era through this period of trial. 중요한 것은 이러한 수난기에 낙심하거나 세상 탓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뜻을 정한 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be discouraged or blame the world, but to become one person who sets their heart before God. 편안한 시대에는 누가 진짜 신앙인인지 모른다. In comfortable times, it is hard to know who is truly faithful. 그러나 어려운 때 뜻을 정하고 믿음을 지켜내는 사람이 진짜 신앙인인 것이다. But in difficult times, those who set their hearts and keep their faith are the real believers. 하나님은 어려운 때를 통과하게 하시며 진짜 신앙인을 가려내고 계신지 모르는 일이다. God may allow difficult times to test and reveal the true faithful. 하나님께서는 지금도 세상 속에 살지만, 세상을 등지지 않고, 세상을 섬길, 뜻을 정한 사람들을 찾고 계신다. Even now, God is seeking those who live in the world but do not turn away from it, and serve it while setting their hearts on Him. 교회는 이전의 부흥과 이전의 영광, 이전의 특권을 회복할 수 없을 지 모른다. The church may not be able to restore past revivals, glory, or privileges. 유럽 교회가 크리스텐덤의 시대를 회복하지 못하는 것처럼 지금의 교회인 우리는 세속 사회에서 마치 유배된 것 같은 삶을 계속 살아가야 할 지 모른다. Just as European churches cannot restore the era of Christendom, we may need to continue living in secular society as if exiled. 중요한 것은 포로기를 살더라도 거기서 나의 신앙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는 것이다. The important thing is that even in exile, we do not lose our faith identity. 하나님께 중요한 것을 결코 양보하거나 타협하지 않겠다는 결단이 있어야 한다. We must resolve never to compromise or yield on what is important to God. 우리는 어쩌면 세상에서 영원한 나그네로 살아야 할지 모른다. We may live as eternal strangers in this world. 그러나 하나님의 백성은 돌아갈 영원한 본향이 있음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Yet we must remember that the people of God have an eternal homeland to return to. 이 땅에서의 삶이 다가 아니고 결국 나의 심판자, 하나님 앞에 서게 되는 날이 있음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We must remember that life on this earth is not everything, and ultimately there will come a day when we stand before our Judge, God. 그래서 지금 눈 앞에 보이는 바벨론의 가치, 바벨론의 패러다임을 정신없이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영원하신 하나님의 말씀 앞에 나의 뜻을 정하며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Therefore, instead of mindlessly following the values and paradigms of Babylon, we should set our hearts before the eternal Word of God and live accordingly.
세상이 바벨론화 될수록 세상은 믿는 자들을 핍박할 것이다. The more the world becomes Babylonized, the more it will persecute believers. 뜻을 정한 성도와 교회는 세상과 섞이지 않음으로 인해 배타적인 사람들로 여겨질 것이다. Believers and churches who have set their hearts will be regarded as exclusive individuals because they do not blend with the world. 그리하여 세상은 믿는 자들을 압박하며 그들의 문화를 계속해서 따르라고 요구할 것이다. As a result, the world will pressure believers to conform to its culture. 그러나 영적 포로기를 사는 성도들에게는 사명이 있다. 그것은 세상에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의 통로가 되는 것이다. However, for believers living in a spiritual exile, there is a mission: to be a channel through which God works in the world. 그래서 성도들은 지금의 직장, 나를 부르신 삶의 현장을 떠나선 안된다. Therefore, believers must not leave their current workplace or the place of life to which God has called them. 거기서 우리는 내가 손해 보고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하나님의 가치를 붙들고 살아내야만 하는 것이다. There, we must hold on to God’s values and live them out, even if it means I suffer loss and take risks. 역사를 주관하고 계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다. God is the One who governs history. 우리의 삶을 심판하실 분도 하나님이시다. God is the One who will judge our lives. 바라기는 다니엘처럼 어려운 시대를 탓하지 않고 하나님 앞에 뜻을 정하며 사는 우리 모두가 되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May we all, like Daniel, not blame difficult times but set our hearts before God and live faithfully, in the name of Je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