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라포션 1 베레쉬트- 시작의 창조

2025년 10월 18일 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설교 이익환 목사

토라포션 1 베레쉬트- 시작의 창조

Torah Portion 1: Bereshit – Creation of the Beginning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창 1:27-28) “So God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the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God blessed them an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increase in number;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Rule over the fish in the sea and the birds in the sky and over every living creature that moves on the ground.’” (Genesis 1:27–28)

이번 주부터 우리는 토라 포션 설교 시리즈를 시작한다. Starting this week, we begin our Torah Portion sermon series. 토라 포션은 1년 동안 토라(모세오경)를 52개의 파라샤, 즉 포션으로 나누어 읽는 유대 전통의 주간 성경 읽기이다. The Torah Portion is a Jewish tradition of weekly Scripture reading that divides the Torah (the Five Books of Moses) into 52 parashot, or portions, to be read throughout the year. 유대인들은 이 리듬에 따라 회당 예배에 참석하며 그들의 일상을 살아간다. The Jewish people attend synagogue services and live their daily lives according to this rhythm. 우리 역시 이스라엘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 말씀의 흐름에 함께 참여하는 것은 구약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큰 유익이 있다. Since we live in Israel, joining in this rhythm of the Word is greatly beneficial for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Old Testament. 그러나 이는 단순히 유대교의 전통을 따라가기 위함이 아니다. However, this is not merely about following Jewish tradition. 우리는 토라를 새 언약의 관점에서 읽음으로 율법주의의 한계를 넘어, 구약이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We read the Torah through the lens of the New Covenant, go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legalism to see how the Old Testament is fulfilled in Jesus Christ.

토라는 히브리어 동사 라호롯(לָהוֹרוֹת)에서 나온 말인데, 이는 “가르치다, 인도하다, 지시하다”란 뜻이다. The word “Torah” comes from the Hebrew verb lahorot (לָהוֹרוֹת), which means “to teach, to guide, to instruct.” 토라는 단순한 율법책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거룩한 삶의 길을 가르치는 하나님의 뜻이다. The Torah is not merely a book of laws but God’s will that teaches His people the path of holy living. 그래서 토라는 단지 읽는 책이 아니라, 살아내는 책이다. Therefore, the Torah is not just a book to be read but a book to be lived. 우리는 매주 토라 포션의 본문 속에서 우리의 삶을 점검하게 될 것이다. Each week, we will examine our lives through the weekly Torah Portion. 토라는 우리 삶에 대한 주석서이며, 우리의 삶은 토라에 대한 살아 있는 해석이 된다. The Torah is a commentary on our lives, and our lives become a living interpretation of the Torah.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토라를 주셨다면, 예수님은 새 계명을 주심으로 토라의 완성을 이루셨다. If God gave the Torah at Mount Sinai, Jesus fulfilled it by giving us the New Commandment. 이제 우리는 새 언약의 백성으로서, 토라를 새 계명의 관점에서 해석하며 살아내야 한다. Now, as people of the New Covenant, we must interpret and live out the Torah through the lens of the New Commandment.

새 토라 사이클의 첫 포션은 ‘베레쉬트’이다. The first portion of the new Torah cycle is Bereshit. 베레쉬트는 “태초에”라는 뜻인데, 이는 창세기의 히브리어 제목이기도 하다. Bereshit means “In the beginning,” which is also the Hebrew title of the Book of Genesis. 창세기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작에 관한 이야기다. As its name indicates, Genesis is the story of beginnings. “베레쉬트”는 흔히 “태초에”로 번역되지만, 전치사 베트(ב)를 뺀 레쉬트(ראשית)는 단순한 “시간의 시작” 이상의 개념이다. “Bereshit” is often translated as “in the beginning,” but reshit (ראשית), without the preposition “be” (ב), means more than just the beginning of time. 이 단어에 머리를 뜻하는 ‘로쉬(ראש)’가 들어가 있는데, 레쉬트는 “근원, 우선순위, 기초, 모든 것의 머리, 출발점”이란 뜻이다. The word contains rosh (ראש), meaning “head,” and reshit signifies “origin, priority, foundation, head of all things, starting point.” 이 단어엔 하나님께서 창조의 시작점, 즉 “모든 것의 머리(ראש)”로 서 계신다는 고백이 담겨져 있다. This word expresses the confession that God stands at the beginning of creation as the “Head (Rosh) of all things.” 우주와 인간의 역사 속에서 하나님이 “근원적 출발점”인 것이다. God is the fundamental starting point of the universe and human history. 성경의 첫 마디는 이것이다. The very first words of the Bible are this. 창 1: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Genesis 1:1,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우주의 탄생, 인류의 기원은 인간이 만든 신화나 과학, 철학이 아니라 하나님의 창조에서 비롯된 것이다. The birth of the universe and the origin of humanity did not come from human myth, science, or philosophy, but from God’s creation. 따라서 성경의 창조 이야기는 단순히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존재의 질서에 대한 하나님의 신학적 선언이다. Therefore, the biblical creation story is not merely a past event but God’s theological declaration about the order of existence. 즉 “시간의 시작”이 아니라 “가치와 목적의 시작”인 것이다. It is not simply the beginning of time but the beginning of value and purpose. 따라서 우리는 창조에 담긴 하나님의 가치와 목적을 알아야 창조 목적에 부합된 삶을 살 수 있다. Therefore, we must know God’s values and purposes in creation in order to live in alignment with them. 창조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고자 하신 메시지는 무엇일까? What message does God want to give us through the creation story? 오늘 세 가지를 살펴보려 한다. Today, we will look at three key messages.

첫번째 메시지는 하나님은 혼돈 속에서 새 일을 시작하셨다는 것이다. The first message is that God began a new work amid chaos. 창 1: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Genesis 1:2, “Now the earth was formless and empty, darkness was over the surface of the deep, and the Spirit of God was hovering over the waters.” 천지 창조 이전 세상은 ‘혼돈과 공허’ 가운데 있었다. Before the creation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world was in a state of ‘chaos and emptiness.’ 히브리어로 ‘토후 바보후(תוהו ובוהו)’다. In Hebrew, it is ‘tohu va-bohu (תוהו ובוהו).’ 하나님은 완벽한 세상이 아니라 혼돈 가운데서 창조를 시작하셨다. God began creation not in a perfect world, but within chaos. 혼돈과 공허는 하나님의 창조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아니라, 창조를 위한 그분의 무대였다. Chaos and emptiness were not obstacles to God’s creation but the stage for His creative work. 하나님은 토후 바보후인 세상에 “빛이 있으라!” 말씀하셨고, 그 말씀에 따라 빛이 생겼다. God said, “Let there be light!” to the tohu va-bohu world, and light came into being by His word. 이것이 하나님의 방식이다. This is God’s way. 하나님은 혼돈 가운데 말씀하신다. God speaks amid chaos. 어둠 한가운데서 새 역사를 시작하신다. He initiates new history in the midst of darkness. 우리의 삶에도 혼돈이 있다. Our lives too are filled with chaos. 관계의 무너짐, 전쟁, 슬픔, 상실… 이러한 현실을 마주할 때마다 우리의 삶은 혼돈과 공허로 가득하게 된다. Broken relationships, war, grief, loss… whenever we face such realities, our lives are filled with chaos and emptiness. 그러나 하나님은 혼돈을 보시고 연민과 책임감으로 역사하신다. Yet God sees the chaos and acts with compassion and responsibility. 그래서 선지자들을 통해 혼돈과 흑암의 세상에 빛을 던질 메시아가 올 것을 예고하셨다. Thus, through the prophets, He foretold that the Messiah would bring light into a world of chaos and darkness. 사 60:2-3, “보라 어둠이 땅을 덮을 것이며 캄캄함이 만민을 가리려니와 오직 여호와께서 네 위에 임하실 것이며 그의 영광이 네 위에 나타나리니 나라들은 네 빛으로, 왕들은 비치는 네 광명으로 나아오리라” Isaiah 60:2-3, “See, darkness covers the earth and thick darkness is over the peoples, but the Lord rises upon you, and his glory appears over you. Nations will come to your light, and kings to the brightness of your dawn.” 그리하여 태초에 말씀으로 존재하셨던 예수님은 때가 차매 육신이 되어 이 땅에 오셨다. Accordingly, Jesus, who existed as the Word at the beginning, came into the world in the fullness of time in the flesh. 요 1:9-10, “참 빛 곧 세상에 와서 각 사람에게 비추는 빛이 있었나니 그가 세상에 계셨으며 세상은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되…” John 1:9-10, “The true light that gives light to everyone was coming into the world. He was in the world, and though the world was made through him…” 혼돈으로 가득했던 태초의 세상에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면서 창조가 시작된 것처럼, 하나님은 지금도 혼돈으로 가득한 우리의 인생 속에서 예수님을 통해 새 창조를 시작하신다. Just as creation began when God’s Word was proclaimed over the chaotic early world, God even now begins a new creation in our chaotic lives through Jesus Christ. 말씀으로 오신 예수님이 빛처럼 우리 삶에 임할 때 우리 인생의 혼돈이 끝나는 것이다. When Jesus, who came as the Word, enters our lives like light, the chaos in our lives ends. 예수님이 우리 인생의 주인이 되실 때 혼동과 공허는 끝나고, 의미와 목적이 있는 삶이 시작되는 것이다. When Jesus becomes the Lord of our lives, confusion and emptiness end, and a life full of meaning and purpose begins.

창조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고자 하신 두번째 메시지는 가정이 창조 소명의 기초라는 것이다. The second message God wants to give us through the creation story is that the family is the foundation of the creative calling. 창세기는 우주의 시작일 뿐 아니라 가정의 시작 이야기이다. Genesis is not only the story of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 but also the beginning of the family. “생육하고 번성하라”는 명령은 국가나 제도 이전에 가정에 주어진 사명이다. The command to “be fruitful and multiply” was a mission given to the family before nations or institutions. 창 2:18, “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 Genesis 2:18, “The Lord God said, ‘It is not good for the man to be alone. I will make a helper suitable for him.'” 여기서 인간의 근본 문제는 바로 ‘혼자 있음’이다. The fundamental problem of humanity here is being alone.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의 고독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In the Bible, human loneliness has two aspects. 먼저는 사회적 외로움이다. Firstly, social loneliness. 이는 내 마음과 생각을 함께 나눌 사람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It is the state of having no one to share my heart and thoughts with. 인간은 본질적으로 관계적 존재이다. Humans are essentially relational beings. 혼자서는 마음을 나눌 수 없고, 이야기할 수 없으면 내 존재가 온전히 살아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없다. Alone, we cannot fully feel our existence as alive if we have no one to share and talk with.

둘째는 실존적 고독이다. Secondly, existential loneliness. 이것은 삶과 죽음, 존재의 유한성 앞에서 느끼는 근본적인 고독이다. It is the fundamental loneliness felt before life and death, before the finiteness of existence. 하나님은 이를 극복하도록 ‘돕는 배필’을 주셨다. God gave the ‘helper’ to overcome this. ‘돕는 배필’은 히브리어로 “에제르 케네그도 (עֵזֶר כְּנֶגְדּוֹ)”이다. ‘Helper’ in Hebrew is “ezer kenegdo (עֵזֶר כְּנֶגְדּוֹ).” 문자적으로 번역하면 “반대자로서 돕는 자”이다. Literally, it translates to “a helper as opposite” 대부분의 성경 번역은 ‘돕는 자’, ‘돕는 배필’로 옮기지만, 이는 히브리어 본래의 긴장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Most Bible translations render it as ‘helper,’ but this does not fully convey the original Hebrew tension. 중세시대 랍비 라시는 이 구절을 이렇게 해석한다: The medieval Rabbi Rashi interpreted this verse as follows: “만약 남자가 합당하다면 그의 아내는 ‘에제르, 돕는 자’가 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케네그도, 그를 대적하는 자’가 될 것이다.” “If the man is worthy, his wife will be a ‘helper,’ and if not, she will be an ‘opponent’ to him.” 하나님께서 아담이 혼자 있는 것을 염려하셨다면, 왜 아내를 단순히 ‘돕는 자’로만 창조하지 않으셨을까? If God was concerned about Adam being alone, why did He not create the woman merely as a ‘helper’? 왜 굳이 ‘돕는-반대자’를 그에게 주셨을까? Why did God give him a ‘helper opposite to him’? 인간이 사회적 외로움을 극복하려면, 서로에게 자기 자신을 제한할 의지가 있어야 한다. To overcome social loneliness, humans must be willing to limit themselves toward each other. 또한 상대방이 나에게 항상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They must accept that the other may not always agree with them. 진정한 배우자는 단순히 ‘예스’만 하는 존재가 아니다. A true spouse is not someone who always says ‘yes.’ 항상 칭찬만 하고, 음식을 차려주거나, 돈을 벌어다 주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Not someone who only praises, prepares food, or earns money. 진정한 인생의 반려자는 필요할 때 “아니요”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A true life partner must be able to say “no” when necessary. 그것이 바로 ‘케네그도,’ 즉 반대자로서의 역할이다. That is the role of ‘kenegdo,’ the opposing counterpart. ‘예스맨’을 배우자로 둔다면, 진정한 ‘타자’와의 마주침은 없다. If one has a ‘yes-man’ as a spouse, there is no encounter with the true ‘other.’ 진정한 삶의 공유도, 성장도 없다. There is no genuine sharing of life or growth. 결국 ‘돕는 반대자’라는 양면성 덕분에 부부 안에는 새로운 조화가 생겨난다. Ultimately, the duality of the ‘helper-opposite’ brings new harmony into the marriage. 부부는 서로를 교정하고, 보완하고, 위로하며, 돕고, 도움을 받는다. Spouses correct, complement, comfort, help, and receive help from each other. 이렇게 될 때만 진정으로 “혼자가 아닌 상태”가 된다. Only then can one truly be in a state of ‘not being alone.’ 여러분의 배우자, 친구, 가족 중에 나를 때로는 반대하면서 성장시키는 사람이 있는가? Do you have a spouse, friend, or family member who sometimes opposes you and helps you grow? 결혼이나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서로를 통제하거나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생각과 마음을 존중하며, 필요할 때는 맞서면서 상대방을 성장시키는 것이다. What matters in marriage or relationships is not controlling or dominating each other but respecting different thoughts and hearts, and confronting each other when necessary to foster growth. 그렇게 될 때 사회적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ly then can social loneliness be overcome.

그렇다면 실존적 고독은 어떻게 극복될 수 있을까? Then how can existential loneliness be overcome? 창 2:24,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 Genesis 2:24, “That is why a man leaves his father and mother and is united to his wife, and they become one flesh.” 여기서 ‘합하여’는 히브리어로 다박(דבק)’인데, 이는 영적, 정신적 일치를 의미한다. Here, ‘united’ is the Hebrew ‘dabaq (דבק),’ which signifies spiritual and mental unity. 이를 통해 자녀가 태어나고, 신앙과 언약이 세대 간에 전수된다. Through this, children are born, and faith and covenant are pass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자녀는 개인의 수명의 한계을 넘어 미래로 이어지는 통로이다. Children are a channel extending beyond an individual’s lifespan into the future. 그들은 우리의 연속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They reflect our continuity. 이는 죽음과 미래의 단절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시켜 준다. This alleviates the fear of death and disconnection from the future. 이로 인해 실존적 고독을 다 해결할 수는 없지만,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While it cannot completely resolve existential loneliness, it significantly helps overcome it. 이처럼 가정은 생명을 낳고, 말씀을 가르치며,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사명의 현장인 것이다. Thus, the family is the place of birth, teaching of the Word, and expansion of God’s kingdom. 따라서 창세기를 읽는다는 것은 단지 과거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우리의 가정을 통해 창조 소명을 살아내는 일이다. Therefore, reading Genesis is not merely interpreting the past but living out the creative calling through our families today. 그래서 이 말씀을 적용하기 위해 청년들은 결혼에 대한 소망을 가져야 한다. Thus, young people should have the hope of marriage to apply this teaching. 배우자를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They should actively seek a spouse. 여러분이 결혼한 사람이라면, 여러분은 나를 반대하고 대적하는 배우자에게 감사해야 한다. If you are married, you should be thankful for a spouse who opposes and challenges you. 여러분은 자녀를 낳아 기르며, 신앙과 언약을 다음 세대에 전하고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You are to bear and raise children, passing on and teaching the faith and the covenant to the next generation.

창조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고자 하신 세번째 메시지는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사실이며, 이는 곧 우리가 하나님을 본받도록 부름받았다는 것이다. The third message God wants to give us through the creation story is that we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which means we are called to reflect Him.
창 5:1-2,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 하나님의 모양대로 지으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고 그들이 창조되던 날에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그들의 이름을 사람이라 일컬으셨더라” Genesis 5:1-2, “This is the written account of Adam’s family line. When God created mankind, he made them in the likeness of God. He created them male and female and blessed them. And he named them ‘Mankind’ when they were created.” 성경은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존재라고 말한다. The Bible teaches that all humans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이것은 곧 모든 인간이 하나님을 대리 통치자이며, 하나님을 대신하여 이 세상을 잘 관리해야 할 권한과 책임이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This means that every human is a representative ruler of God, entrusted with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manage the world on His behalf. 그러나 경계가 무너지는 곳에서 혼돈은 시작되었다. Yet chaos began where boundaries were broken. 하나님의 임재로 가득했던 에덴에는 생명나무와 선악과 나무라는 경계가 있었다. Eden, filled with God’s presence, had boundaries marked by the tree of life and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그러나 아담과 하와가 그 경계를 무너뜨렸을 때 그들은 낙원을 상실했다. But when Adam and Eve broke those boundaries, they lost paradise. 땅에는 가시덤불과 엉겅퀴가 자라며 다시 혼돈과 공허가 시작됐다. Thorns and thistles grew on the ground, and chaos and emptiness began anew. 하나님 대신 인간의 욕망이 우상이 될 때 인류는 혼돈과 공허라는 ‘토후 바보후’의 역사를 반복해왔다. When human desire became an idol in place of God, humanity repeated the history of ‘tohu va-bohu,’ chaos and emptiness. 하나님께서 아담이 범죄할 가능성을 모르셨을까? Did God not know that Adam could sin? 하나님은 인간의 타락 가능성을 아셨지만, 하나님은 인간에 대한 믿음을 가지셨다. God knew the possibility of human fall, yet He had faith in humanity. 하나님은 당신의 말씀에 부응하여 순종하며 일어설 사람들이 있음을 믿으셨다. He believed there would be people who would rise and obey His Word. 창세기는 바로 그러한 사람에 관한 이야기다. Bereshit is the story of such people. 아담의 실패로 인간에게 주어졌던 하나님의 축복은 저주로 바뀌고 하나님과의 관계도 파괴되었다. Because of Adam’s failure, God’s blessing given to humanity turned into a curse, and the relationship with God was broken. 그러나 창세기 12장에서는 아담의 실패를 바꿀 인물이 등장한다. Yet in Genesis 12, a figure appears to reverse Adam’s failure. 아브라함이다. Abraham. 아브라함은 하나님과의 끊어진 관계를 회복하기 위하여 철저히 순종의 사람으로 등장한다. Abraham emerges as a person of complete obedience to restore the broken relationship with God. 창세기 37장에서는 형제 살인이라는 가인의 실패를 바꿀 인물이 등장한다. In Genesis 37, a figure appears who will reverse the failure of Cain, the murder of his brother. 요셉이다. Joseph. 사람과의 상처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요셉은 역경 속에서도 형제를 용서하고, 어떤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섭리를 인정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To restore wounded relationships with others, Joseph appears as a figure who forgives his brothers amid adversity and acknowledges God’s providence in every circumstance. 하나님은 이렇게 불순종의 고리를 끊고 순종하며 일어설 사람들을 지금도 기다리신다. God still awaits people who will break the cycle of disobedience and rise in obedience. 미움과 분열의 영을 끊고 용서와 화해를 이루어 내는 하나님의 사람들을 찾고 계신다. He is looking for His people who will break the spirit of hatred and division and bring about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창조는 “빛이 있으라”는 말씀으로 시작되었다. Creation began with the command, “Let there be light.” 말씀이 임할 때 경계와 질서가 세워진다. When the Word is proclaimed, boundaries and order are established. 혼돈을 질서로 바꾸는 기준은 말씀이다. The standard that turns chaos into order is the Word. 세상 철학이나, 이념이나, 인본주의가 아니다. It is not worldly philosophy, ideology, or humanism. 우리는 말씀의 빛, 곧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빛을 본 자들이다. We are those who have seen the light through the Word, that is, Jesus Christ. 이제 우리는 세상에 그 빛을 비추는 자로 부름 받았다. Now we are called to reflect that light to the world. 우리는 지금 하나님과 동행하는 것보다 인류의 생존과 번영, 그 자체가 더 중요해진 시대에 살고 있다. We now live in an era where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humanity itself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walking with God. 하나님이 정하신 경계가 빠른 속도로 무너지고 혼돈이 짙어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 We live in an era where God’s ordained boundaries are rapidly collapsing and chaos deepens. 이때 다시 말씀의 빛이 우리 가정과 공동체와 사회에 비춰져야 한다. 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Word must shine again upon our families, communities, and society. 말씀이 임할 때, 토후 바보후, 혼돈과 공허가 끝나고, 질서와 생명, 그리고 ‘토브 메오드(טוֹב מְאֹד),’ “매우 좋았더라”의 역사가 시작되는 것이다. When the Word comes, tohu va-bohu, chaos and emptiness come to an end, and order and life begin, along with the history of “tov me’od (טוֹב מְאֹד),” “very good.” 우리 모두 혼돈의 한가운데서 새 창조를 시작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하길 바란다. May we all trust in God, who begins new creation amid chaos. 우리 모두 가정을 창조 소명의 현장으로 세우길 바란다. May we all establish the family as the site of the creative calling. 우리 모두 하나님의 형상 답게 세상을 다스리고 질서를 세우는 제사장적 부르심에 응답하길 바란다. May we all respond to the priestly calling to govern the world and establish order in the image of God. 베레쉬트는 과거의 시작이 아니라, 오늘 우리 삶 속에서 다시 창조를 시작하시는 하나님의 이야기이다. Bereshit is not the beginning of the past, but God’s story of beginning creation anew in our lives today. 우리는 혼돈 속에서 새로운 시작을 창조할 수 있는 사명자들인 것이다. We are those who are called to create a new beginning in the midst of chaos. 이제 새롭게 시작되는 토라 포션의 말씀 여정 속에서 우리의 삶으로 말씀을 해석하는 세대가 되길 바란다. May we become a generation that interprets the Word through our life on the journey of this newly starting Torah portion. 그리하여 혼동과 공허의 세상 속에서 새로운 시작의 이야기를 써 내려가는 우리 모두가 되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I bless in Jesus’ name that we all may become those who write the story of new beginnings in a world of confusion and emptiness.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