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het 17: 학개 – 나중 영광

2025년 9월 6일 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설교 이익환 목사

Prophet 17: 학개 – 나중 영광

이 성전의 나중 영광이 이전 영광보다 크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내가 이 곳에 평강을 주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학 2:9) “‘The glory of this present house will be greater than the glory of the former house,’ says the LORD Almighty. ‘And in this place I will grant peace,’ declares the LORD Almighty.” (Haggai 2:9)

우리는 누구나 낙심할 때가 있다. We all experience discouragement at times. 건강 때문에,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또는 삶의 목표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낙심한다. We get discouraged because of health issues, financial problems, or when our life goals are not achieved. 하나님의 일을 하다가도 방해와 어려움을 겪을 때 우리는 낙심한다. Even when doing God’s work, we face obstacles and difficulties, which lead to discouragement. 낙심(落心)은 한자어로 “마음이 떨어지다”란 뜻이다. Discouragement literally means “the heart falls down.” 낙심은 단순한 우울이나 슬픔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대하고 바라보던 마음이 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It is not mere sadness or depression, but the falling of a heart that once eagerly hoped in God. 이스라엘 백성들도 낙심했다. The people of Israel also experienced discouragement. 포로에서 돌아와 오랜 숙원이었던 성전을 재건하려 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성전 건축이 중단되어 낙심했다. They returned from exile and attempted to rebuild the long-awaited temple, but the construction was halted for various reasons, which caused discouragement. 학개서는 백성들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Haggai conveys God’s word to the people. 낙심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그 낙심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했는지 함께 살펴보며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 원한다. We want to look at how discouragement affected their lives and how they had to overcome it, and through this, listen to the voice of God speaking to us today.”

기원전 539년 고레스는 바벨론 제국을 함락 시키고 광활한 바사 제국을 이룬다. In 539 BC, Cyrus conquered Babylon and established the vast Persian Empire. 이듬해인 BC 538년 그는 정복민에게 종교적, 문화적 자율성을 허락하는 관용 정책을 펼친다. In the following year, 538 BC, he implemented a policy of tolerance, granting religious and cultural autonomy to the conquered peoples. 그리하여 바벨론에 끌려와 있던 유다 포로들에게 고국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할 수 있는 자유를 준다. Thus, the Judean exiles in Babylon were allowed to return to their homeland to rebuild the temple. 이 내용이 고레스 실린더에 기록되어 있다 This is recorded on the Cyrus Cylinder: “나는 바벨론에 머물던 신들의 형상들을 그들의 원래 자리로 돌려보냈으며, 그들이 영원한 거처에 살도록 하였다. 나는 각 지역의 거주민들을 모아 그들의 고향으로 되돌려 보냈다.” “I returned the images of the gods, who had resided there [in Babylon], to their places and I let them dwell in eternal abodes. I gathered all their inhabitants and returned them to their settlements.”

Cyrus Cylinder

이에 스룹바벨과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인도 아래 약 5만 명이 귀환한다. About 50,000 returned under the leadership of Zerubbabel and the high priest Joshua. 예루살렘에 돌아온 그들은 2년 뒤인 BC 536 성전 의 기초를 놓으면서 성전 재건을 시작한다. Two years after returning to Jerusalem, in 536 BC, they laid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and began its reconstruction. 그러나 성전 재건은 시작부터 방해에 직면했다. However, the rebuilding faced opposition from the start. 어떠한 방해였을까? What kind of opposition was it? 에스라 4장을 보면 사마리아 사람들이 성전 건축을 방해한다. Ezra 4 shows that the Samaritans obstructed the temple construction. 그들은 페르시아 왕에게 거짓 보고를 한다. They sent false reports to the Persian king. 그것은 성전이 완공되면 저들이 반역할 것이라는 모함이었다. The accusation claimed that the Jews would rebel once the temple was completed. 이 모함이 받아들여져 성전 건축은 다리오 왕 제 이년까지 중단된다. This accusation was accepted, and construction was halted until the second year of King Darius. 이 때가 기원전 520년이다. This was in 520 BC. 그러니까 무려 16년 동안 성전 건축은 방치된 채 멈춰져 있었던 것이다. So, the temple project was left abandoned for 16 years. 이러한 현실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낙심케 했다. This reality discouraged the people of Israel. 그들의 낙심은 총체적인 영적 침체로 이어졌다. Their discouragement led to a total spiritual decline.

먼저 낙심은 변명으로 나타난다. First, discouragement appears as excuses. 하나님은 학개 선지자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God spoke to Haggai, the prophet. “이 백성이 말하기를 여호와의 전을 건축할 시기가 이르지 아니하였다 하느니라” (1:2) “The people say, ‘The time has not yet come to rebuild the house of the Lord’” (1:2). 그러나 “아직 때가 아니다”라는 백성들의 말은 사실 변명에 불과한 것이다. However, their claim of ‘not yet the time’ was merely an excuse. 그들은 16년 동안이나 성전 재건을 무관심 속에 미뤄둔 채, ‘아직 때가 아니다’라고 변명하며 하나님의 뜻을 외면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They postponed the temple reconstruction for 16 years in indifference, saying ‘not yet,’ ignoring God’s will. 둘째, 그들의 낙심은 삶의 우선순위를 바꿨다. Second, their discouragement changed their priorities. 그들에겐 더 이상 하나님의 영광과 임재는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God’s glory and presence were no longer important to them. 그들에게 더 중요한 것은 그들 삶의 현실적인 문제였다. Their immediate life concerns became more important. 그것은 빠른 시간에 하나님의 영광을 대신하기 시작했다. This quickly replaced God’s glory in their hearts. 성전은 무너진 채로 방치되었는데, 그들은 자기 집 짓기에만 바빴다. While the temple lay in ruins, they focused solely on building their own houses. 이런 그들을 향해 하나님이 말씀하셨다. God spoke to them about this. 학 1:4, “이 성전이 황폐하였거늘 너희가 이 때에 판벽한 집에 거주하는 것이 옳으냐” Haggai 1:4, “Is it a time for you yourselves to be living in your paneled houses, while this house remains a ruin?” ‘판벽한 집’은 멋있게 꾸민 집을 말한다. ‘Paneled houses’ refers to beautifully adorned houses. 그들의 사명이었던 성전 건축은 우선 순위에서 밀려나고 그들은 자신들의 거할 집에 지극한 정성을 쏟았다. Their divinely appointed mission of rebuilding the temple was pushed down the list of priorities, and they devoted utmost care and attention to the houses in which they lived. 셋째, 낙심은 삶의 불만족을 낳는다. Third, discouragement produces life dissatisfaction. 하나님은 말씀하셨다. God said. 학 1:6, “너희가 많이 뿌릴지라도 수확이 적으며 먹을지라도 배부르지 못하며 마실지라도 흡족하지 못하며 입어도 따뜻하지 못하며 일꾼이 삯을 받아도 그것을 구멍 뚫어진 전대에 넣음이 되느니라” Haggai 1:6, “You have planted much, but have harvested little. You eat, but never have enough. You drink, but never have your fill. You put on clothes, but are not warm. You earn wages, only to put them in a purse with holes in it.” 이처럼 하나님을 제쳐놓고 사는 삶에는 결코 만족이 없는 것이다. Life without prioritizing God brings no satisfaction. 이스라엘에서 하이테크 산업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은 높은 연봉을 받는다. In Israel, young people in the high-tech industry earn high salaries. 그러나 그들 중 상당수가 영적으로 공허함을 느낀다. Yet many feel spiritually empty. 그래서 그들은 네게브 광야에서 있었던 노바 축제 같은 트랜스 음악 축제나 유대 신비주의 영성 세미나 같은 다른 길들을 찾는다. So, they seek other avenues such as trance music festivals in the Negev desert or Jewish mystical spiritual seminars. 왜냐하면 그들 삶의 우선순위가 하나님이 아니기 때문이다. Because God is not their priority. 그들은 다른 자극들을 추구하지만 하나님을 우선적으로 구하지 않기 때문에 삶에 만족이 없는 것이다. They seek other stimulations, but without seeking God first, they remain unsatisfied.

낙심의 결과 영적 침체에 빠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이 주신 처방은 무엇이었을까? What remedy did God give to the spiritually discouraged Israelites? 먼저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너희는 자기 행위를 살필지니라”(1:7)고 말씀하셨다. First, God said to examine their deeds (1:7). 여기서 ‘살펴보라’는 것은 단순히 생각만 하라는 뜻이 아니다. ‘Examine’ does not mean to think superficially. 낙심한 마음(落心)을 하나님 앞에 내려놓고, 삶의 중심을 다시 하나님께로 돌리라는 뜻이다. It means to lay down the discouraged heart before God and return life’s center to Him. 성전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다. The temple is not merely a building. 성전은 하나님의 임재가 거하시는 자리이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상징한다. It is where God’s presence dwells and symbolizes the relationship with Him.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임재를 그들의 삶의 중심에 다시 두는 것이 필요했던 것이다.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the people to place God’s presence at the center of their lives. 다행히 백성은 학개 선지자가 전하는 말씀을 듣고 “여호와를 경외하며”(1:12) 다시 성전 재건을 시작한다. Fortunately, the people listened to the message delivered by the prophet Haggai, and, as they ‘feared the Lord’ (1:12), they resumed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이처럼 낙심을 극복하는 길은 하나님을 삶의 우선순위에 모시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path to overcoming discouragement is to place God as the first priority in life.

백성들은 성전을 다시 짓기 시작했지만, 곧 낙심에 빠진다. Although they started rebuilding, they soon became discouraged. 왜냐하면 새 성전이 솔로몬 성전보다 초라했기 때문이다 (2:3). Because the new temple appeared inferior to Solomon’s temple (2:3). 비교 때문에 낙심이 온 것이다. Their discouragement stemmed from comparison. 에스라서 3장을 보면 16년 전에 성전의 기초를 놓을 때, 나이 많은 족장들이 대성통곡을 한 적이 있다. In Ezra chapter 3, we see that when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was laid sixteen years earlier, the older leaders wept loudly. 그들은 솔로몬 성전을 보았던 사람들이고, 그것과 비교할 때 그 터의 규모가 너무 작아서 울었던 것이다. They were those who had seen Solomon’s temple, and when they compared it with this foundation, they wept because it seemed so small in scale. 문제는 이들의 낙심이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됐다는 것이다. The problem was that their discouragement spread to others. 성전 재건을 시작하고 약 한 달이 지났을 때, 하나님께서는 학개 선지자에게 말씀을 주셨다. About a month after rebuilding began, God spoke to Haggai. 그 말씀은 바로 그들의 낙심에 관한 것이었다. That word was precisely about their discouragement. 학 2:3, “너희 가운데에 남아 있는 자 중에서 이 성전의 이전 영광을 본 자가 누구냐 이제 이것이 너희에게 어떻게 보이느냐 이것이 너희 눈에 보잘것없지 아니하냐” Haggai 2:3, ‘Who of you is left who saw this house in its former glory? How does it look to you now? Does it not seem to you like nothing? 하나님은 그들이 과거의 영광과 비교하며 낙심하고 있는 사실을 아셨다. God knew they were discouraged by comparing with past glory. 우리도 종종 비교 때문에 낙심한다. We also often feel discouraged through comparison. 우리는 다른 사람의 성취와 비교하면서 낙심한다. We become discouraged by comparing ourselves to the achievements of others. 과거의 영광과 현재의 초라한 현실을 비교하며 낙심에 빠진다. We become discouraged by comparing the glory of the past with the seeming smallness of the present.

비교로 인해 낙심에 빠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처방은 무엇인가? What remedy did God provide to those discouraged by comparison? 하나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God said: 학 2:4, “그러나 여호와가 이르노라 스룹바벨아 스스로 굳세게 할지어다 여호사닥의 아들 대제사장 여호수아야 스스로 굳세게 할지어다 여호와의 말이니라 이 땅 모든 백성아 스스로 굳세게 하여 일할지어다 내가 너희와 함께 하노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Haggai 2:4, “But now be strong, O Zerubbabel,’ declares the LORD. ‘Be strong, O Joshua son of Jehozadak, the high priest. Be strong, all you people of the land,’ declares the LORD, ‘and work. For I am with you,’ declares the LORD Almighty.” “너는 스스로 굳세게 할지어다”는 히브리어로 ‘아타 하자크 (חזק אתה)’이다. ‘Be strong’ in Hebrew is “Ata Hazak (חזק אתה).” 여기서 ‘하자크’ 는 단순히 육체적 힘만이 아니라 정신적, 영적 굳건함을 포함한다. Hazak refers not only to physical strength but also mental and spiritual firmness. 하나님께서 성전을 재건할 지도자와 백성들에게 낙심을 떨치고 강한 마음으로 사명을 감당하라고 명령하신 것이다. God commanded the leaders and people rebuilding the temple to cast off discouragement and act with strength. 그들이 강한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What is the basis for them to have a strong and steadfast heart? 그것은 그들과 함께 하시는 임마누엘 하나님에게서 오는 것이다. The basis comes from the Immanuel God who is with them. 하나님은 “내가 너희와 함께 하노라”는 약속을 전하신다. God promises, “I am with you.” 하나님은 이어서 또 이렇게 말씀하신다. Haggai 2:5 continues: 학 2:5, “너희가 애굽에서 나올 때에 내가 너희와 언약한 말과 나의 영이 계속하여 너희 가운데에 머물러 있나니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지어다” Haggai 2:5, “This is what I covenanted with you when you came out of Egypt. And my Spirit remains among you. Do not fear.” 하나님은 나의 언약의 말과 나의 영이 너희 가운데 머물러 있다는 사실에 대해 말씀하셨다. God reminded them that His word and Spirit dwell among them. 이처럼 낙심의 해결책은 환경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하시는 임마누엘의 하나님이다. Thus, the solution to discouragement is not circumstances, but the Immanuel God with us. 하나님이 함께하시기에 우리는 낙심한 마음을 떨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것이다. Because God is with us, we can overcome discouragement.

하나님은 계속해서 약속하신다. God continues His promise. 학 2:6-7,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조금 있으면 내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육지를 진동시킬 것이요 또한 모든 나라를 진동시킬 것이며 모든 나라의 보배가 이르리니 내가 이 성전에 영광이 충만하게 하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Haggai 2:6-7,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In a little while I will once more shake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sea and the dry land. I will shake all nations, and the desired of all nations will come, and I will fill this house with glory,’ says the LORD Almighty.” 여기서 ‘만군의 여호와’라는 표현이 반복된다. The phrase “Lord of hosts” is repeated. ‘만군의 여호와’는 히브리어로 ‘아도나이 쩨바옷 (יהוה צבאות)’인데, 직역하면 “군대의 하나님”이다. In Hebrew, it is “Adonai Tzevaot,” literally “Lord of armies.” 하나님은 천상과 지상의 모든 군대를 통솔하시는 전능자이심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This shows God’s sovereignty over all heavenly and earthly armies. 하나님은 성전 재건을 주저하는 백성에게, 모든 통치와 주권이 자신에게 있음을 강조하시며 장차 이 성전에 모든 나라의 보배가 이를 것을 약속하고 계신 것이다. God assured the hesitant people that all authority belongs to Him and that the temple will be filled with the wealth of all nations. 우리가 낙심될 때 회복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이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믿음이다. When discouraged, we must restore our faith in God’s sovereignty. 하나님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믿음이다. Seeing the world from God’s perspective is faith in His sovereignty. 이 믿음이 우리를 낙심에서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This faith enables us to rise from discouragement. 그래서 우리는 지금 내게 일어난 모든 안 좋은 상황까지도 하나님의 주권 아래 일어난 것임을 인정해야 한다. Therefore, we must acknowledge that even all the unfavorable circumstances we are experiencing have occurred under God’s sovereign will. 그러나 하나님이 결국 그분의 때에, 그분의 선하신 목적을 이룰 것을 우리가 믿을 때 우리는 낙심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에 동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ut when we trust that God will accomplish His good purpose in His time, we can participate in His sovereign work.

하나님은 이어서 더 놀라운 약속을 주신다. God then gave an even more wonderful promise. 학 2:9, “이 성전의 나중 영광이 이전 영광보다 크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내가 이 곳에 평강을 주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Haggai 2:9, “The glory of this present house will be greater than the glory of the former house,’ says the LORD Almighty. ‘And in this place I will grant peace,’ declares the LORD Almighty.” 겉으로 보기에 새 성전은 초라했다. On the surface, the new temple seemed small. 그러나 하나님은 이 성전의 나중 영광이 이전 영광보다 크게 될 것을 말씀하셨다. Yet God promised that the temple’s latter glory would surpass the former. 그리고 그 약속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다. And this promise is fulfilled in Jesus Christ. 예수님은 “이 성전을 헐라 내가 사흘 만에 다시 세우리라”(요 2:19) 말씀하셨다. Jesus said, “Destroy this temple, and in three days I will raise it up” (John 2:19). 예수님이 친히 성전 되신 것이다. Jesus Himself became the Temple. 그리하여 그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이제 우리가 하나님의 임재와 영광을 누릴 수 있게 된 것이다. Through His cross and resurrection, we can experience God’s presence and glory now.

사도 바울은 이제 우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성전’으로 함께 지어져 가고 있다고 말한다. Paul teaches that we are being built together as God’s temple in Christ Jesus. 엡 2:21-22, “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 가고 너희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가 되기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느니라” Ephesians 2:21-22, In him the whole building is joined together and rises to become a holy temple in the Lord. And in him you too are being built together to become a dwelling in which God lives by his Spirit.” 여러분은 성전으로 지어져 가는 여러분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How do you view yourself as a temple being built? 다른 성전과 비교할 때 너무 작다고 통곡하고 있지는 않는가? Are you lamenting that it is too small compared to other temples? 여러 방해 때문에 성전을 세울 수 없다고, 아직 성전을 세울 때가 아니라고 포기하고 있진 않는가? Are you giving up due to obstacles, thinking it’s not yet time to build the temple? 아니면 지금 먹고 사는 것도 힘들어 성전을 세우는 것은 지금 나의 관심사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진 않는가? Or are you saying that ‘building the temple is not my concern right now because even making a living is difficult’? 낙심한 마음을 내버려 두면 그것은 반드시 깊은 영적 침체로 이어진다. Leaving a discouraged heart unchecked leads to deep spiritual stagnation. 여러분이 ‘아직 때가 아니다”란 변명을 늘어 놓고 있다면 그것은 영적 침체의 증거다. If you constantly say ‘not yet,’ it is a sign of spiritual stagnation. 여러분이 삶의 만족함 없이 늘 분주하다면 그것 역시 영적 침체의 증거다. If you are busy yet unsatisfied, it too is a sign of spiritual stagnation. 여러분이 많이 노력해도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면 그 역시 여러분에게 영적 돌파가 필요하다는 싸인이다. If no matter how much effort you put in, things still do not go well, that too is a sign that you need a spiritual breakthrough. 우리는 낙심의 자리에서 일어나 만군의 여호와를 바라보아야 한다. We must rise from discouragement and look to the Lord of hosts. 그 때 하나님은 우리 삶 가운데 더 크고 놀라운 영광을 나타내실 것이다. Then God will manifest greater glory in our lives. 그 때 ‘이 성전의 나중 영광이 이전 영광보다 크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Then God’s promise that the latter glory of this house shall surpass the former will be fulfilled.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사명은 환경과 사람들의 방해 때문에 중단 되어선 안된다. God’s mission given to us must not be halted by circumstances or opposition. 하나님의 영광과 그분의 임재는 내 삶의 다른 우선순위 때문에 대체 되어선 안된다. God’s glory and presence must not be replaced by other priorities. 오늘 우리가 낙심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우선순위를 회복할 때, 하나님은 이전보다 더 큰 영광을 우리에게 예비해 주신다. When we restore God’s priorities even amidst discouragement, God will prepare greater glory for us than before. 바라기는 우리의 삶 속에 중단 없이 하나님의 임재와 영광의 처소를 건설하는 우리 모두가 되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May we all continue to build the dwelling of God’s presence and glory in our lives without interruption, in Jesus’ name.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