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아비브 욥바교회 샤밧예배 2025년 4월 5일 설교 이익환 목사
Kingship 11: 호세아
“호세아 제구년에 앗수르 왕이 사마리아를 점령하고 이스라엘 사람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끌어다가 고산 강 가에 있는 할라와 하볼과 메대 사람의 여러 고을에 두었더라” (왕하 17:6) 2 Kings 17:6: In the ninth year of Hoshea, the king of Assyria captured Samaria and deported the Israelites to Assyria. He settled them in Halah, in Gozan on the Habor River and in the towns of the Medes.
오늘은 북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 호세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oday we’re going to look at Hoshea, the last king of Northern Israel. 북 이스라엘은 그를 마지막으로 역사에서 자취를 감춘다. Northern Israel disappeared from history after him. 호세아는 국가의 멸망에 어떠한 기여를 했을까? What did Hoshea contribute to the fall of the nation? 북이스라엘이 멸망한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What wa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fall of Northern Israel? 함께 살펴보며 주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Let’s take a look and see what lessons the Lord has for us.

호세아가 처음 등장하는 장면은 열왕기하 15장이다. Hoshea first appears in 2 Kings 15. 왕하 15:29-30, “이스라엘 왕 베가 때에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이 와서 이욘과 아벨벳 마아가와 야노아와 게데스와 하솔과 길르앗과 갈릴리와 납달리 온 땅을 점령하고 그 백성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옮겼더라 웃시야의 아들 요담 제이십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하여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쳐서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2 Kings 15:29-30: In the time of Pekah king of Israel, Tiglath-Pileser king of Assyria came and took Ijon, Abel Beth Maacah, Janoah, Kedesh and Hazor. He took Gilead and Galilee, including all the land of Naphtali, and deported the people to Assyria. Then Hoshea son of Elah conspired against Pekah son of Remaliah. He attacked and assassinated him, and then succeeded him as king in the twentieth year of Jotham son of Uzziah. 호세아는 베가를 죽이고 왕이 된다. Hoshea killed Pekah and became king. 그런데 디글랏 빌레셀이 남긴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이 적혀있다. However, the inscription left by Tiglath-pileser reads: “이스라엘… 그 모든 거주민들과 그들의 소유를 나는 앗시리아로 끌고 갔다. 그들은 베가 왕을 폐위시켰고, 나는 호세아를 그들의 왕으로 임명했다.” “Israel… All its inhabitants and their possessions I led to Assyria. They overthrew their king Pekah and I placed Hoshea as king over them.” 호세아는 자기 힘으로 반역을 한 것이 아니었다. Hoshea did not rebel on his own initiative. 앗수르 왕 드글랏 빌레셀의 힘을 빌어 왕위를 얻게 된 것이다. He was given the throne through the power of the Assyrian king Tiglath-pileser. 따라서 호세아는 왕이 되면서부터 앗수르에게 충성을 할 수 밖에 없었다. Therefore, Hoshea had no choice but to be loyal to Assyria from the moment he became king.
왕하 17:1-2, “유다의 왕 아하스 제십이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구 년간 다스리며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으나 다만 그 전 이스라엘 여러 왕들과 같이 하지는 아니하였더라” 2 Kings 17:1-2: In the twelfth year of Ahaz king of Judah, Hoshea son of Elah became king of Israel in Samaria, and he reigned nine years. He did evil in the eyes of the LORD, but not like the kings of Israel who preceded him. 호세아는 다른 왕들처럼 악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호와께서 보시기에는 그는 악했고, 그의 시대에 나라의 멸망이 왔다.Hoshea was not evil like the other kings, but he was evil in the sight of the LORD, and the destruction of the nation came in his days. 왕하 17:3-4,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이 올라오니 호세아가 그에게 종이 되어 조공을 드리더니 그가 애굽의 왕 소에게 사자들을 보내고 해마다 하던 대로 앗수르 왕에게 조공을 드리지 아니하매 앗수르 왕이 호세아가 배반함을 보고 그를 옥에 감금하여 두고” 2 Kings 17:3-4: Shalmaneser king of Assyria came up to attack Hoshea, who had been Shalmaneser’s vassal and had paid him tribute. But the king of Assyria discovered that Hoshea was a traitor, for he had sent envoys to So king of Egypt, and he no longer paid tribute to the king of Assyria, as he had done year by year. Therefore Shalmaneser seized him and put him in prison. 호세아는 왕이 된 후에 계속해서 앗수르에게 조공을 바쳤다. After Hoshea became king, he continued to pay tribute to Assyria. 그러면서 자신의 권력도 유지하고 나라도 지켰다. In doing so, he maintained his power and protected his country. 그러나 앗수르의 강력한 정복자 디글랏 빌레셀 3세가 죽자, 호세아의 마음이 변한다. However, when Tiglath-pileser III, the powerful conqueror of Assyria, died, Hoshea changed his mind. 디글랏 빌레셀이 없는 앗수르는 더 이상 옛날 같지 않을 것이라 그가 판단 한 것이다. He considered that Assyria would no longer be the same without him. 그래서 그는 앗수르에게 바치던 조공을 더 이상 바치지 않는 담대한 결정을 내린다. So he made a bold decision to stop paying tribute to Assyria. 그렇게 결정한 데는 다른 계획이 있었기 때문이다. He had other plans behind his decision. 그는 또 다른 강대국 애굽의 소 왕에게 사신을 보내 자기들을 도와줄 것을 요청했던 것이다. He sent an envoy to King So of Egypt, another powerful nation, and asked him to help them. 호세아는 하나님보다도 강대국의 힘을 더 의지했다. Hoshea relied more on the power of powerful nations than on God. 이러나 이러한 이스라엘의 모습에 대해 동명의 선지자 호세아가 다음과 같은 예언의 말을 했다. However, regarding this state of Israel, the prophet Hosea made the following prophetic words. 호 7:10-11, “이스라엘의 교만은 그 얼굴에 드러났나니 그들이 이 모든 일을 당하여도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오지 아니하며 구하지 아니하도다 에브라임은 어리석은 비둘기 같이 지혜가 없어서 애굽을 향하여 부르짖으며 앗수르로 가는도다” Hosea 7:10-11: Israel’s arrogance testifies against him, but despite all this he does not return to the LORD his God or search for him.” Ephraim is like a dove, easily deceived and senseless–now calling to Egypt, now turning to Assyria. 하나님께 구하지 않고 애굽과 앗수르 사이에서 더 강한 쪽을 힘을 의지하는 이스라엘의 모습을 비판한 것이다. This is a criticism of Israel’s failure to seek God and to rely on the strength of the stronger side between Egypt and Assyria.

왕하 17:5, “앗수르 왕이 올라와 그 온 땅에 두루다니고 사마리아로 올라와 그 곳을 삼 년간 에워쌌더라” 2 Kings 17:5: The king of Assyria invaded the entire land, marched against Samaria and laid siege to it for three years. 호세아의 친 애굽 정책은 앗수르의 새 왕인 살만에셀을 격분하게 만든다. Hoshea’s pro-Egyptian policy enraged the new king of Assyria, Shalmaneser. 이에 살만에셀은 앗수르의 대군을 이끌고 와서 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를 3년간 포위한다. Shalmaneser led a large Assyrian army and besieged Samaria, the capital of Israel, for three years. 그런데 이 작전 중 살만에셀이 원인 모를 병으로 갑자기 죽게 된다. However, during this campaign, Shalmaneser suddenly died of an unknown illness. 그러자 그의 형제인 사르곤 2세가 왕위를 이어받아 사마리아를 점령한다. Then his brother Sargon II succeeded to the throne and conquered Samaria. 이로써 BC 722년, 북 이스라엘은 멸망하고 만다. This led to the destruction of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in 722 BC. 왕하 17:6, “호세아 제구년에 앗수르 왕이 사마리아를 점령하고 이스라엘 사람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끌어다가 고산 강 가에 있는 할라와 하볼과 메대 사람의 여러 고을에 두었더라” 2 Kings 17:6: In the ninth year of Hoshea, the king of Assyria captured Samaria and deported the Israelites to Assyria. He settled them in Halah, in Gozan on the Habor River and in the towns of the Medes. 이미 수차례에 걸친 앗수르의 침공 때마다 수많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포로로 끌려갔다. 그런데 나라가 망하면서 3만 명 가량이 포로가 되어 앗수르에 끌려간다. Many Israelites had been taken captive during the previous Assyrian invasions, but as the nation fell, about 30,000 people were taken captive to Assyria.

앗수르의 왕 사르곤 2세의 연대기는 이런 기록이 있다. The annals of Sargon II, king of Assyria, record this: “나는 사마리아 성을 함락시켰으며, 그 안에 살던 이스라엘 백성 27,290명을 포로로 사로잡아 앗수르 본토로 끌고 갔다.” “The town of the Samaritans I besieged, conquered… I led away as prisoners, 27,290 inhabitants of it.” 또한 사르곤 2세는 앗수르 제국에 살던 사람들을 이스라엘 땅으로 옮겨 살게 한다. Sargon II also caused the people living in the Assyrian Empire to settle in the land of Israel. 왕하 17:14, “앗수르 왕이 바벨론과 구다와 아와와 하맛과 스발와임에서 사람을 옮겨다가 이스라엘 자손을 대신하여 사마리아 여러 성읍에 두매 그들이 사마리아를 차지하고 그 여러 성읍에 거주하니라” 2 Kings 17:24: The king of Assyria brought people from Babylon, Cuthah, Avva, Hamath and Sepharvaim and settled them in the towns of Samaria to replace the Israelites. They took over Samaria and lived in its towns. 이것은 당시 앗수르 제국의 식민지 이주 정책을 보여준다. This shows the colonial migration policy of the Assyrian Empire at that time. 앗수르는 정복한 나라의 백성을 포로로 잡아가 앗수르 제국의 여러 지역으로 흩었고, 다른 지역의 사람들을 그곳에 이주시켜 살게 했다. The Assyrians took the people of the conquered nations captive and scattered them to various parts of the Assyrian empire, and then brought people from other regions to live there. 결과적으로 다른 민족이 서로 결혼하여 그 자녀가 혼혈이 되게 함으로 민족 정체성을 없애는 정책을 쓴 것이다. The result was a policy of eliminating ethnic identity by allowing different peoples to intermarry and their children to become mixed-bloods. 여기서 사마리아인들의 비극이 시작됐다. This is where the tragedy of the Samaritans began. 사마리아에 남아있던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방 민족과 결혼하여 피가 섞였고, 그 결과 유대인들이 피가 섞인 사마리아 사람들은 개처럼 취급하는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The Israelites who remained in Samaria intermarried with foreign peoples and mixed their blood, and so began a history of Jews treating Samaritans with mixed blood like dogs.
북 이스라엘은 왜 멸망한 것일까? 앗수르보다 힘이 없어서일까? Why did Northern Israel fall? Was it because they were less powerful than Assyria? 이어지는 본문에서 열왕기서 저자는 북이스라엘이 멸망한 원인을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passage, the author of Kings explains the reason for the fall of Northern Israel. 왕하 17:7-8, “이 일은 이스라엘 자손이 자기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사 애굽의 왕 바로의 손에서 벗어나게 하신 그 하나님 여호와께 죄를 범하고 또 다른 신들을 경외하며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 사람의 규례와 이스라엘 여러 왕이 세운 율례를 행하였음이라” 2 Kings 17:7-8: All this took place because the Israelites had sinned against the LORD their God, who had brought them up out of Egypt from under the power of Pharaoh king of Egypt. They worshiped other gods and followed the practices of the nations the LORD had driven out before them, as well as the practices that the kings of Israel had introduced. 북 이스라엘 멸망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우상 숭배 때문이다.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the fall of Northern Israel was idolatry. 북 이스라엘의 19명의 왕은 약 200년 동안 초대 왕 여로보암이 시작한 우상 숭배의 죄에서 떠나지 않았다. For nearly 200 years, the 19 kings of northern Israel did not turn away from the sin of idolatry begun by their first king, Jeroboam. 하나님의 언약에는 축복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저주도 있다. God’s covenant doesn’t just have blessings. There are also curses. 하나님은 이미 520년 전 신명기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언약의 말씀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셨다. God had already given the Israelites the following covenant words 520 years earlier in the book of Deuteronomy. 신 28:15, 63-64, “네가 만일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순종하지 아니하여 내가 오늘 네게 명령하는 그의 모든 명령과 규례를 지켜 행하지 아니하면 이 모든 저주가 네게 임하며 네게 이를 것이니…. 너희가 들어가 차지할 땅에서 뽑힐 것이요 여호와께서 너를 땅 이 끝에서 저 끝까지 만민 중에 흩으시리니 네가 그 곳에서 너와 네 조상들이 알지 못하던 목석 우상을 섬길 것이라” Deut. 28:15, 63-4: However, if you do not obey the LORD your God and do not carefully follow all his commands and decrees I am giving you today, all these curses will come upon you and overtake you… You will be uprooted from the land you are entering to possess. Then the LORD will scatter you among all nations, from one end of the earth to the other. There you will worship other gods–gods of wood and stone, which neither you nor your fathers have known. 북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며 우상을 따랐기에 예고된 멸망의 순간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The northern people of Israel disobeyed the word of God and followed idols, and they faced the moment of destruction that was foretold.
사람들은 하나님을 온전히 예배하지 못할 때 우상을 섬기기 시작한다. People begin to worship idols when they fail to worship God completely. 우리가 예배 주권을 상실할 때 우상이 우리의 주인 노릇하며 우리 인생을 장악하는 것이다. When we lose our sovereignty over worship, idols become our masters and take control of our lives. 결국 예배의 반대가 우상숭배인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opposite of worship is idolatry. 하나님께로 향해야 할 예배가 우상에게로 향할 때 아이돌 워쉽이 되는 것이다. When worship that should be directed to God is directed to an idol, it becomes idol worship. 사람들의 마음은 우상을 갈망한다. The human heart longs for idols. 존 칼빈은 인간의 마음은 끊임없이 우상을 만들어내는 공장과 같다고 말했다. John Calvin said that the human heart is like a factory that constantly produces idols. 우상 숭배는 하나님 아닌 다른 것을 숭배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 이외의 다른 것을 마치 하나님인 것처럼 숭배하는 것이다. Idolatry is worshiping something other than God. In other words, it is worshiping something other than God as if it were God. 북 이스라엘 백성들은 금송아지에 절하며 자신들은 하나님을 섬긴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것은 자신들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가짜 하나님에 불과한 것이었다. The northern Israelites bowed down to the golden calf and thought they were serving God. However, it was nothing more than a counterfeit god to satisfy their desires. 사실 그들에게 금송아지는 바알의 다른 형태이다. In fact, the golden calf was another form of Baal to them. 번영, 권력, 쾌락을 준다는 바알이 하나님보다 매력적이었기에 그들은 하나님을 섬긴다고 하면서 실상은 바알을 섬긴 것이었다. Because Baal’s promises of prosperity, power, and pleasure were more attractive than God’s, they thought they were serving God, but they were really serving Baal. 우리가 섬길 수 있는 이 시대의 우상은 무엇일까? What are the idols of our time that we might serve? 소유가 우상이 될 수 있다. Possessions can be an idol. 권력이 우상이 될 수 있다. Power can be an idol. 성공이 우상이 될 수 있다. Success can be an idol. 하나님보다 더 갈망하고 있는 것, 하나님께 보다 더 헌신하고 있는 것이 우상인 것이다. Anything we desire more than God, anything we are more committed to than God, is an idol. 오늘날 교회도 하나님의 이름으로 얼마든지 우상을 섬길 수 있다. The church today can serve any number of idols in the name of God. 십자가 없는 영광을 구하는 것이 우상일 수 있다. Seeking glory without the cross can be an idol. 겸손히 하나님의 뜻을 구하기 보다 내가 원하는 축복과 힐링을 얻기 위해 예수의 이름으로 믿음의 선포를 남용하는 것도 우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Abusing the declaration of faith in the name of Jesus to obtain the blessings and healing that I want rather than humbly seeking God’s will can also be an idol.
그런데 우상 숭배가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돈을 추구하고, 성공을 추구하는 것이 잘못된 것일까? But why is idolatry a problem? Is it wrong to pursue money, to pursue success? 문제는 우리가 하나님께 마땅히 드려야 할 예배 없이 우리의 마음을 온통 다른 것으로 채우는 데 있는 것이다. The problem is that we fill our hearts with other things, without giving God the worship he deserves. 우상 숭배가 위험한 이유가 있다. 그것은 인간은 자기가 예배하고 숭배하는 대상을 닮는다는 것이다. There’s a reason idolatry is dangerous. It is that we become like the things we worship and adore. 시편 기자는 말한다. The Psalmist says. 시 115:4, 8, “그들의 우상들은 은과 금이요 사람이 손으로 만든 것이라… 우상들을 만드는 자들과 그것을 의지하는 자들이 다 그와 같으리로다” Psalms 115:4, 8: But their idols are silver and gold, made by the hands of men.…Those who make them will be like them, and so will all who trust in them. 이사야 선지자도 말한다.The prophet Isaiah also says. 사 44:9, 18, “우상을 만드는 자는 다 허망하도다 그들이 원하는 것들은 무익한 것이거늘 그것들의 증인들은 보지도 못하며 알지도 못하니 그러므로 수치를 당하리라… 그들이 알지도 못하고 깨닫지도 못함은 그들의 눈이 가려서 보지 못하며 그들의 마음이 어두워져서 깨닫지 못함이니라” Isaiah 44:9,18: All who make idols are nothing, and the things they treasure are worthless. Those who would speak up for them are blind; they are ignorant, to their own shame… They know nothing, they understand nothing; their eyes are plastered over so they cannot see, and their minds closed so they cannot understand. 사람들은 자신들이 숭배하는 우상을 닮아간다. People become like the idols they worship. 권력 만을 추구하는 정치인들이나 돈을 숭배하는 사람들은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들이 섬기는 우상처럼 천박하게 변해가는 것이다. Politicians who only pursue power or people who worship money unknowingly becomes shallow like the idols they worship. 한 나라에 하나님을 향한 예배가 사라지고 우상 숭배만 가득해진다면 그 사회는 어떻게 될까? What would happen to a society if the worship of God disappeared and only idolatry filled the country?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가 사라진 천박한 사회가 되는 것이다. It will become a shallow society where God’s justice and righteousness have disappeared. 오늘 본문에서도 그 사실을 지적한다. Today’s text also points out this fact. 왕하 17:9, 11, “이스라엘의 자손이 점차로 불의를 행하여 그 하나님 여호와를 배역하여 모든 성읍에 망대로부터 견고한 성에 이르도록 산당을 세우고… 또 악을 행하여 여호와를 격노하게 하였으며” 2 Kings 17:9,11: The Israelites secretly did things against the LORD their God that were not right. From watchtower to fortified city they built themselves high places in all their towns… They did wicked things that provoked the LORD to anger. 점차로 불의를 행하는 것이 무서운 것이다. Gradually committing injustice is a terrible thing. 그것은 반드시 하나님을 배역하는 길로 가게 되는 것이다. It will surely lead to rebellion against God. 그것은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멸망으로 가는 지름길인 것이다. It is a shortcut to destruction according to God’s Word. 공의가 사라진 사회에서는 청년들이 휘청거린다. In a society where justice has disappeared, young people stagger. 채워져야 할 갈망이 채워지지 못하고 다른 것으로만 채우려 한다면 휘청거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If the longing that needs to be filled is not fulfilled and they try to fill it with other things, they cannot help but stagger. 아모스 선지자는 그런 사회를 이렇게 묘사했다. The prophet Amos described such a society as follows. 암 8:11, 13, “보라 날이 이를지라 내가 기근을 땅에 보내리니 양식이 없어 주림이 아니며 물이 없어 갈함이 아니요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이라… 그 날에 아름다운 처녀와 젊은 남자가 다 갈하여 쓰러지리라” Amos 8:11,13: “The days are coming,” declares the Sovereign LORD, “when I will send a famine through the land–not a famine of food or a thirst for water, but a famine of hearing the words of the LORD… “In that day “the lovely young women and strong young men will faint because of thirst. 아모스 선지자는 남유다가 고향이지만 북 이스라엘이 멸망하기 3, 40년 전 북 이스라엘을 향한 예언의 말씀을 집중적으로 전했다. The prophet Amos was from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but he focused on delivering prophetic words to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30 to 40 years before its destruction. 그는 ‘자기 궁궐에서 포학과 겁탈을 쌓는 자들이 바른 일을 행할 줄 모른다’(암 3:10)고 경고했다. He warned that “those who heap up violence and rape in their palace will not know how to do right” (Amos 3:10). 그는 북 이스라엘의 정치 권력자들을 ‘사마리아 산에 있는 바산의 암소들’이라고 부르며, ‘너희는 힘 없는 자를 학대하며 가난한 자을 압제했다’(암 4:1)고 비난했다. He called the political powers of Israel “cows of Bashan on Mount Samaria,” and criticized them for “oppressing the poor and crushing the needy” (Amos 4:1). 그는 종교 행위를 하는 자들에게 제사와 노랫소리를 멈추라고 말하며, ‘오직 정의를 물 같이,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 같이 흐르게 하라’(암 5:24)고 명령했다. He told those who practiced religion to stop their sacrifices and their singing, and commanded them to “let justice roll on like a river and righteousness like a never-failing stream” (Amos 5:24). 그는 불의한 이스라엘이 멸망하게 될 것을 예언했다. He prophesied that unrighteous Israel would be destroyed. 그러나 마지막 9장에서는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데, 그것은 하나님께서 ‘내 백성 이스라엘이 사로잡힌 것을 돌이킬 것이며, 그들이 내가 준 땅에서 다시 뽑히지 아니할 것이라(암 9:14-15)’는 약속이었다. But in the last chapter 9, he conveys God’s will, which was God’s promise that ‘I will bring back my exiled people Israel, and they will never again be uprooted from the land I have given them (Amos 9:14-15).’ 그런데, 아모스는 그 일이 이루어지기 전에 일어날 한 가지 사실에 대해 말한다. However, Amos speaks of one thing that will happen before that happens. 암 9:11-12, “그 날에 내가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일으키고 그것들의 틈을 막으며 그 허물어진 것을 일으켜서 옛적과 같이 세우고 그들이 에돔의 남은 자와 내 이름으로 일컫는 만국을 기업으로 얻게 하리라 이 일을 행하시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Amos 9:11-12: “In that day I will restore David’s fallen tent. I will repair its broken places, restore its ruins, and build it as it used to be, so that they may possess the remnant of Edom and all the nations that bear my name,” declares the LORD, who will do these things. 이것은 예배가 회복된다는 예언이다. This is a prophecy of the restoration of worship. 다윗이 그의 장막에서 전심으로 드렸던 그 예배가 회복된다는 예언이다. It is a prophecy of the restoration of the worship that David offered wholeheartedly in his tabernacle. 예배가 회복되어야 우상이 사라진다. When worship is restored, idols will disappear. 우상이 사라져야 공의가 회복되며, 사람들의 기갈의 문제가 해결된다. When idols disappear, justice will be restored, and the people’s hunger will be solved.

여러분은 지금 어떤 예배를 드리고 있는가? What kind of worship are you currently offering? 마르바 던은 예배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Marva Dawn says of worship asl follows. “예배는 시간 낭비다. 그러나 참으로 고귀한 시간 낭비다. 예배는 우리를 그 가운데 우주의 왕이신 하나님의 고귀한 광휘에 빠져들게 하기 때문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임재를 다른 사람과 함께 누릴 수 있는 기회, 우리의 시간에서 벗어나 하나님 나라의 영원한 목적에 들어가게 하는 기회이다. 그 결과 우리는 변한다. 우리의 변화는 우리가 하는 어떤 일 때문이 아니다. 우리가 집중하고 복종하는 대상인 하나님께서 자신을 계시하심으로써 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Worship is a waste of time. But it is a royal waste of time, because it immerses us in the precious splendor of the King of the universe. It is an opportunity to share God’s presence with others, to step out of our time and into the eternal purpose of God’s kingdom. As a result, we are changed. Our change is not because of anything we do. It is because God, the object of our attention and submission, reveals himself to us.” 북 이스라엘은 이러한 예배에 대한 주권을 상실했기에 멸망한 것이다. Northern Israel was destroyed because they lost their sovereignty over this kind of worship. 호세아 왕이 하나님을 온전히 예배하며, 예배를 통해 하나님이 누구이신지 경험했다면 그는 앗수르와 애굽 사이에서 눈치보는 일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If King Hoshea had worshiped God completely and experienced who God is through his worship, he would not have been hesitant between Assyria and Egypt. 우리가 살펴본 것처럼 하나님이 아닌 강대국이 우상이 된 나라, 우상 숭배 때문에 하나님의 공의가 사라진 나라, 그런 나라는 하나님의 보호가 떠나가고, 우상의 생리에 의해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삼키는 일이 일어나게 된다. As we have seen, when a nation worships a mighty power rather than God, when God’s justice has been abandoned because of idolatry, God’s protection is withdrawn, and the nature of idolatry allows the strong to devour the weak. 이것은 한 나라, 한 왕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개인적인 예배를 회복하지 못한 사람은 얼마든지 자신이 섬긴 우상 때문에 멸망의 길을 갈 수 있는 것이다. This is not just the story of one nation and one king. Any individual who fails to restore their personal worship can easily go down the path of destruction because of the idols they serve. 바라기는 여러분 모두 예배의 주권을 회복하길 바란다. My hope is that you will all reclaim your sovereignty of worship. 예배의 주권을 회복한다는 것은 여러분 스스로 하나님을 찾고 경배하는 시간을 갖는 것을 말한다. Reclaiming the sovereignty of worship means taking time for yourself to seek and worship God. 바라기는 우리의 삶에서 예배를 회복함으로 우상이 지배하는 듯한 세상에서도 하나님의 영광을 체험하는 성도로 살아가게 되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May we restore worship in our lives so that we may live as saints who experience the glory of God even in a world that seems to be dominated by idols, in Jesus’ name.